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6

‘사립미술관 승계 방안을 위한 토론회’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사립미술관협회(회장 이명옥)는 다음달 5일 광주시 동구 의재미술관에서 전국 사립미술관장들이 참여한 가운데 ‘사립미술관 승계 방안을 위한 토론회’를 연다. 


문화체육관광부의 후원으로 열리는 이번 토론회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립미술관의 공동 발전을 통해 문화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문화예술 자산의 영속을 위한 사립미술관 승계 방안’이라는 의제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토론자로 나서 사립미술관 운영에 필요한 법률적 로드맵과 각종 정보, 사례를 제시한다. 


하계훈 단국대 교수는 ‘미술관 승계에 대한 현황과 대비책 마련의 필요성’이라는 주제로 강연하고 김성규 한미회계법인대표는 ‘미술관 승계의 리스크와 핵심 이슈’, 김동준 법무법인 중부 대표변호사는 ‘법률적 관점에서 본 사립미술관의 승계 문제’에 대해 각각 강연한다.


- 광주일보 2012.8.29

베니스비엔날레 건축전 시작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세계적 건축 행사인 베니스 비엔날레에 영상으로 표현한 한국 건축이 소개된다.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 29일(현지시간)부터 열리는 제13회 베니스 비엔날레 국제 건축전에 앞서 한국관 전시가 28일부터 시작됐다. 이번 비엔날레 한국관 전시는 `건축을 걷다-Walk in Architecture`라는 주제로 진행되며 패널과 모형 위주 전시가 아니라 모니터 40대와 빔프로젝터 12대를 활용한 영상전으로 선보인다. 한국관에는 김태만(해안건축 대표) 김현수(이소우건축 대표) 박승홍(디엠피건축 대표) 박진택(Jtparchitecture 대표) 오영욱(oddaa 소장) 윤창기(경암건축 대표) 이상림(공간 대표) 한종률(삼우건축 부사장) 씨가 참여했다. 


영국 유명 건축가 데이비드 치퍼필드가 총감독을 맡은 올해 국제 건축전은 11월 25일까지 `커먼 그라운드(Common Ground)`라는 주제로 3개월간 열린다. 


- 매일경제 2012.8.29

개천미술대상전 부문별 대상 4명 선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박찬숙(한국화)·김은주(서양화)·정욱화(서예)·권윤선(문인화) 대상 영예


제62회 개천미술대상전 영예의 대상은 한국화부문 박찬숙(함안)씨의 ‘work(2012)’, 서양화부문 김은주(통영)씨의 ‘인연’, 서예부문 정욱화(진주)씨의 ‘변종운선생-시’, 문인화부문은 권윤선(울산)씨의 ‘竹’ 등에게 돌아갔다.

최우수상은 서양화부문 명현주(진주), 수채화부문 박혜경(진주), 한국화부문 박옥선(김해), 문인화부문 유정혜(진주), 서예부문 조경래(산청), 공예부문 이은정(양산), 서각부문 최찬용(진주) 등 총 7명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우수상은 서양화부문 정경민·고윤숙, 수채화부문 차미자·김미영, 한국화부문 강혜순·김경규, 문인화부문 한경남·문동배·장순옥, 서예부문 조성숙·김길호·이정경, 공예부문 최미경, 서각부문 황애숙씨 등이 수상했다. 

이외에서 성파상 1명, 개천미술상 8명, 특별상 4명, 특선 147명, 입선 453명 총 638명의 입상자를 낳았다.

이번 공모전에는 한국화 187점, 서양화 115점, 수채화 78점, 서예 250점, 문인화 426점, 공예 45점, 디자인 2점, 서각 71점 등 총 1174점이 출품됐으며 지난해에 비해 200여점이 더 많이 출품됐다. 

특히 한국화 및 공예 서각분야에서 출품수가 많이 활성화 됐지만 조소에서 출품작품이 없고 디자인 부문에서는 출품수가 저조해 부문별 다양성의 과제를 남겼다

작품의 출품지역으로 보면 전남, 부산, 대구, 울산 등 많은 지역에서 출품됐으며 각 지역의 특색 있는 미술작품의 색감과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됐다. 

한편 올해 개천미술대상전 심사위원들의 총평에 따르면 서양화는 개성과 심혈을 기울인 훌륭한 작품이 많았지만 추상계열의 작품이 다소 부족했던 점이 아쉬웠으며, 공예 또한 다양한 장르의 작품이 출품됐고 한국적이면서 현대적 기법의 작업이 많았다.

한국화 부문은 많은 출품수가 말해주듯 심사위원들이 고심할 만큼 훌륭한 작품이 배출됐고 한국화 부문 속에 한국의 정서를 담은 민화 부문을 개설해 다양함을 더했다. 완성도 및 심도 있는 작업도 많았다. 

수채화 부문에서는 실험성과 현대적 기법을 사용한 감각적인 작업이 많이 나왔으며 이는 수채화의 저변확대의 단면으로 볼 수 있다. 서예부문 작품 수는 예년과 비슷했지만 작품수준은 전반적으로 상향 평준화 된 느낌을 가졌다. 반면 전국대회인 만큼 작품의 다양성이 다소 기대에 못 미쳤다는 아쉬움도 남았다

문인화 부문은 대부분 매난국죽 사군자에 국한된 응모작으로 기초에 대한 열의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특히 대상작 권윤선 작품 ‘묵죽’은 탄탄한 기초와 자유분방한 필치가 일품이였으며 실경을 보는 듯 정지된 맑음을 보여주는 수작이였다.

정기만 개천미술대상전 운영위원장은 “예년에 비해 더 많은 출품수로 전국 공모전의 위상이 한층 업그레이드 된 느낌이다. 내년에는 조소, 디자인 분야에 활성화를 위해 더욱 힘쓸 것”이라며 “양적인 면에서 향상되었지만 심사위원들이 고심할 만큼 현대적이고 심도 있는 작품들이 많이 출품돼 운영위원장으로서 마음이 뿌듯하다. 내년은 더욱 많은 지역과 골고루 출품수를 갖추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경남일보 2012.8.28

동학혁명기념관 유물 구입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동학농민혁명기념관이 전시와 연구, 교육을 위해 동학농민혁명 관련 유물을 구입한다. 구입 대상은 1894년 동학농민혁명 전후의 고문서와 무기, 교통, 농경, 의식주 관련 자료 등 동학농민혁명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유물이다.

 신청 기간은 다음 달 11일부터 17일까지이며, 유물매도신청서와 매도대상유물명세서, 신분증, 유물 사진 등을 제출하면 된다.


- 서울신문 2012.8.28

경찰 “현대미술관 화재 원인 전기합선” 결론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29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공사현장 화재사건의 원인이 전기합선으로 잠정 결론났다.

 서울 종로경찰서는 27일 관계기관 합동 브리핑에서 최초 발화점이 지하 3층 기계실 천장에 달린 임시등 주변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경찰은 “합선에 의해 시작된 불이 천장 우레탄폼에 옮겨 붙으면서 화재가 난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우레탄폼의 특성상 가열되면 확산 속도가 빨라 화재가 발생하고 불과 몇 분 사이에 확산돼 소화기로 진화할 수 없는 상황이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불이 나던 날 우레탄폼 작업과 함께 용접이 이뤄진 사실도 확인했으나 화재와는 관련이 없다고 결론지었다. 


- 서울신문 2012.8.28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