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6

사진기자협회-무이갤러리 전시 협력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사진기자협회(회장 김정근·왼쪽)와 뉴욕 맨해튼의 무이 갤러리(대표 김재현·오른쪽)는 7일 서울 경운동 영진사이버대 강의실에서 전·현직 사진기자의 사진전시회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교환했다. 무이 갤러리는 해마다 한국보도사진전을 뉴욕에서 열고 회원들의 개인전도 주선하기로 했다.

- 한겨레 2012.5.8

대나무 유물 보존 연구 공로 차미영씨 ‘젊은 과학자상’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성낙준)의 차미영 연구원(34·사진)이 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국제목재보존학회 제43차 연례회의에서 ‘젊은 과학자상(Ron Cockcroft Award)’을 수상했다. 차 씨는 충남 태안 마도 해역 고려시대 난파선에서 나온 죽찰(글이 써진 대나무 조각)로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대나무 유물에 대한 보존처리 방법을 연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 동아일보 2012.5.8

덕수궁 내 세종대왕 동상 청량리로 옮긴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울 덕수궁 내에 있는 세종대왕 동상이 서울 동대문구 회기로 56번지(청량리동)에 있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경내로 이전된다. 문화재청은 세종대왕기념사업회가 세종대왕 동상(사진)의 이전을 요청해 7일부터 31일까지 이전작업을 벌이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세종대왕 동상은 총 높이 6.7m의 청동 좌상으로, 1968년 애국선열조상건립위원회와 서울신문사가 공동으로 건립했다. 최근 광화문광장에 세종대왕 동상이 들어서면서 덕수궁과 역사적 관련이 없는 이 동상을 덕수궁 밖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돼 왔다.

2004년부터 덕수궁 원형복원사업을 추진해온 문화재청은 세종대왕 동상이 있는 자리에 본래 있었던 전각을 건립해 덕수궁을 대한제국 정궁(正宮)의 모습으로 돌려놓을 계획이다.

- 동아일보 2012.5.8

홈플러스, 英테스코 매장서 한국식품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홈플러스(회장 이승한)는 영국 런던의 뉴몰든에 있는 테스코(TESCO) 매장에서 오는 7월 25일~8월 31일 ‘글로벌 동반성장을 위한 영국 테스코 매장 내 한국식품전’을 연다고 7일 밝혔다. 영국에 한국 식품을 홍보하고 판로 확대 가능성 타진을 위한 것으로,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다. ‘테스코-코트라-홈플러스’가 2010년 10월, 한국 중소기업 제품의 해외 수출 지원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데 따른 움직임이다.

국제제과, 한일식품, 해오름 등 중소기업부터 롯데, CJ, 대상, 웅진식품 등 대기업까지 30개 업체가 150여종의 한국식품을 전시ㆍ판매한다. 규모가 지난해보다 배 정도 늘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이번 식품전은 특히 런던올림픽 기간에 맞춰 열려 영국인뿐 아니라 런던을 찾는 세계 관광객들에게 한국 식품을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했다. 행사 효과 극대화를 위해 첫날엔 테스코그룹의 필립 클락 회장을 비롯해 올림픽 케이터링 관계자, 영국의 6ㆍ25 참전 용사 등이 대거 참석한다.

-헤럴드경제 2012.5.7

한·중·일, 문화예술도시 선정 교류 확대키로… 3국 문화장관 합의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 중국 일본은 5일 3국 간 문화교류 확대를 위한 ‘문화예술도시’ 운영을 비롯한 구체적인 협력 계획을 확정했다.

최광식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차이우(蔡武) 중국 문화부 부장, 히라노 히로후미(平野博文) 일본 문부과학상은 이날 중국 상하이 국제회의센터에서 제4회 한중일 문화장관회의를 열고 3국 간 ‘문화협력 액션플랜(2012∼2014년)’에 합의했다.

한중일은 각각 3개 도시를 ‘2014년 동아시아 문화예술도시’로 선정한 뒤 상대방이 주최하는 문화예술도시 관련 행사에 자국의 우수한 예술가들이 적극 참여하는 데 협력키로 했다.

이어 2015년부터 3년 동안 문화장관회의 주최국의 1개 도시를 문화예술도시로 지정해 공동으로 문화예술 활동을 벌임으로써 3국 국민의 문화적 공감대를 넓혀가기로 했다. 3국은 동아시아가 갖고 있는 우수한 전통문화와 현대 문화예술의 발전성과를 알리기 위해 한중일 이외의 제3국에서 공동예술제를 개최하기로 했다. 또 한국의 제안으로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예술 교육주간에 포럼과 교육프로그램도 활발하게 전개해 나가기로 했다.


-연합뉴스 2012. 5. 7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