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0

9월 19일까지 아뜰리에 에르메스서 ‘에르메스 미술상’ 후보작가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럭셔리 브랜드 에르메스 코리아가 주관하는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 후보작가전(사진)이 9월 19일까지 서울 강남구 신사동 아뜰리에 에르메스에서 열린다. 올해 10회를 맞은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 후보에는 박진아 배종헌 양아치 등 3명이 올랐다.

회화 작가로는 처음으로 후보에 오른 박진아(36)는 전시된 영상 작품을 지켜보는 관객들의 모습 등 작가 주변의 풍경을 스냅 사진으로 찍고 그림으로 재구성한 작품을 선보인다. 환경이라는 주제를 말랑말랑하게 풀어내는 배종헌(41)은 ‘우리집 일기예보’라는 제목의 영상작업을 출품했으며 미디어 아트 작가 양아치(40)는 비둘기의 시선으로 찍은 ‘밝은 비둘기 현숙씨’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들 중 9월 2일 결정되는 최종 수상자에게는 상금 2000만원이 수여된다(02-3015-3248).

국민일보, 2010.07.28

문화재보호재단 이사장 이세섭씨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이세섭(57) 전 한국예술종합학교 사무국장이 임기 3년의 한국문화재보호재단 이사장에 임명됐다. 이 신임 이사장은 육군사관학교와 중앙대 예술대학원을 졸업하고 국립현대미술관 사무국장과 국립중앙박물관 교육문화교류단장을 거쳐 예술원 사무국장, 한국예술종합학교 사무국장을 역임했다.

조선일보, 2010.07.28

'2010 젊은 건축가상' 7명 선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2010 젊은 건축가상' 7명 선정

이기용(38·KLNB 아키텍츠), 이정훈(36·JOHO 아키텍처), 임영환(42·D·LIM 건축사사무소), 김선현(39·〃), 전병욱(46·JNK 건축사사무소), 강진구(36·〃), 정기정(42·건축사사무소 유오에스)씨 등 5개 팀 7명이 문화체육관광부가 선정하는 '2010 젊은 건축가상'을 받는다. '젊은 건축가상'은 신진 건축가를 발굴 양성하기 위한 것으로 수상자는 작품 전시회, 작품집 발간 등을 지원받으며 정부와 자치단체의 사업에 참여하는 기회도 우선으로 받는다.

조선일보, 2010.07.28

전국 미술관 큐레이터 컨퍼런스 29·30일 개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경기도미술관(관장 김홍희)은 국립현대미술관(관장 배순훈)과 공동으로 29일과 30일 양일간 ‘제1회 전국 공·사립미술관 큐레이터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전국 국·공·사립 미술관 전문직 종사자들 간에 학술적·실무적 정보를 교환하고 업무 협력을 위한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한 마련한 것. 29일에는 경기도미술관에서 심상용 동덕여대 교수와 이수정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사, 서진석 대안공간 루프 디렉터가 각각 시대의 변화와 지역에 따른 큐레이터십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날 강좌는 큐레이터라는 직종 및 시각문화예술 기관의 정책에 관심을 가진 일반인도 들을 수 있도록 공개된다.

30일 프로그램은 경기창작센터에서 진행되며, 공·사립 미술관의 중장기 전시에 대한 발표와 공·사립 미술관 협력망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토론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또한 전문인력 재교육의 일환으로 김기태 세명대 미디어창작학과 교수가 ‘미술품과 저작권’에 대해 특별 강연을 한다. 문의 (031)481-7007

-경기일보 2010.7.28

[뉴스 파일] 조선시대 ‘왕비 방석’ 17세기 때 제작 확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국내에 유일하게 전해오는 조선시대 왕비 방석(사진)이 17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확인됐다. 방석을 소장하고 있는 서울 강남구 논현동 한국자수박물관은 “최근 이 왕비 방석을 17세기 궁중 자수보자기와 비교 검토한 결과 비단 상태와 자수 기법이 동일해 같은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방석은 110×87cm로, 지금까지는 조선 후기에 만든 것 정도로만 추정해 왔다. 여기엔 왕비를 상징하는 봉황, 장수와 부귀영화를 상징하는 학, 모란 등이 화려하게 수놓여 있다.

비교 대상으로 삼은 보자기는 뒷면에 자수로 ‘孝宗癸巳十月(효종계사10월)’이라고 표기돼 있어 효종 때인 1653년에 제작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동아일보, 2010.07.28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