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0

인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세계일보 - 문화 염호상
프레시안 - 문화팀장 강양구

-2010.06.08 조선일보

허영만 화백 목포대서 名博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만화 ‘식객’의 허영만 화백(사진)이 목포대에서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받는다고 목포대가 7일 밝혔다. 목포대는 “허 화백이 만화를 통해 청년들이 사회적 부조리에 맞서는 것과 문화산업 발전 등에 이바지했고, 특히 식객에서 전남지역 음식문화의 위상을 높였다”고 학위 수여 배경을 밝혔다. 학위수여식은 15일 교내 박물관 대강당에서 열린다.

-2010.06.08 조선일보

스티로폼… 빨대… 흔한 물건의 변신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도영준 씨의 ‘스티로폼으로 만든 북극곰’사진 제공 금호미술관 치아 뽑으면 뽑을수록 손해? 초등교사 P양, 결혼 못한 이유
스티로폼, 전단, 빨대 등 특이한 소재로 새로운 공간을 체험할 수 있는 전시가 열리고 있다. 서울 종로구 사간동 금호미술관의 ‘지구를 지켜라’전과 서울 강남구 청담동 옛 반얀트리 홍보관에서 열리는 ‘스펙트럼’전. 생활 속에서 흔히 접하는 사물을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해 발상의 전환을 깨우쳐주는 체험형 전시들이다.

△‘지구를 지켜라’전=천장에서 늘어진 색색의 종이들이 색다른 공간을 연출한다. 버려지는 각종 인쇄물을 재활용한 이장섭 씨의 설치작품이다. 가전제품 등의 포장재로 사용하는 스티로폼을 수집해 만든 도영준 씨의 ‘스티로폼 북극곰’도 흥미롭다. 쓰레기와 환경오염으로 고통받고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을 돌아보게 한다. 8월 22일까지 열리는 ‘지구를 지켜라’전은 작가와 디자이너의 작품을 통해 자연과 환경의 소중함을 역설한다. 유리병, 골판지, 버려진 문틀과 화분을 이용한 공간을 체험할 수 있다. 5000원. 02-720-5114

△‘스펙트럼’전=전시장에 들어서는 순간 눈이 부시다. 9m 높이로 쌓은 485개의 프리즘이 신비한 빛을 발하며 벽면에 무지개를 만든다. 바닥에는 150만 개의 음료 빨대를 펼쳐 공간을 새롭게 구축한 ‘토네이도’가 설치돼 있다. 30일까지 열리는 ‘스펙트럼’전은 일본 출신의 세계적 디자이너 요시오카 도쿠진의 작품으로 몽환적 공간을 선보였다. 바닥과 벽, 천장 등을 백색으로 뒤덮은 공간 속에는 벌집 구조로 만든 종이 의자, 식물의 섬유 같은 소재를 빵처럼 가마에 구워 만든 의자가 놓여 있다. 8000∼1만2000원. 02-577-6688

-동아일보 2010.6.8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의 궁궐 사진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최광식)은 한-몽 수교 20주년을 기념해 9일부터 다음달 5일까지 몽골 국립박물관에서 '한국의 궁궐 사진전'을 개최한다.
조선시대 궁궐의 100여 년 전 사진과 오늘의 영상을 통해 역사와 건축 특징 및 의미를 소개한다.

-2010.06.08 조선일보

[미술 단신]작가 ‘아케이드 프로젝트’전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서울 강남구 삼성동 인터알리아 아트스페이스에서 24일까지 ‘아케이드 프로젝트’전이 열린다. 전시장을 아케이드처럼 구성해 고전과 역사, 과거의 향수에 현재에 대한 관심을 표현한 작품들을 전시했다. 참여작가는 박선기 이재효 강유진 박상희 이상원 한성필 씨 등. 02-3479-0114

■ 제6회 광화문국제아트페스티벌이 10∼28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등에서 열린다. ‘기억과 치유-공존의 세기’라는 주제 아래 평면 입체 영상 작품을 선보인다. 참여작가는 김춘옥 서승원 차대영 노주환 류경원 씨 등. 올해는 6·25전쟁 60주년을 기념해 참전 동맹국의 작가들을 초청하는 특별전이 마련했다. 12일 오후 1시 ‘광화문 사랑 어린이 그리기 대회’도 열린다. www.giaf.co.kr

■ 사진작가 탁인아 씨의 ‘Plastic Eye’전이 서울 종로구 인사아트센터5관에서 9∼15일 열린다. 실제 생활 속에서 만날 수 있는 거대한 동물 모형의 이미지를 포착한 사진은 낯설고 초현실적이다. 작가는 “내 사진은 디지털시대의 충실한 다큐멘터리로 사회와 문화의 다양성을 얘기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02-736-1020

-동아일보 2010.6.8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