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0

'전주객사'에서 '풍패지관'으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명칭변경 움직임 속에 관심 고조

"객사에서 만나자!"

약속을 정할 때 마땅한 장소가 생각나지 않으면 전주 한복판에 자리 잡은 전주객사(보물 제583호)는 만인의 '만남의 장소' 역할을 했다.

수십 년간 전주시민의 약속 장소였던 전북 전주시 완산구 중앙동의 전주 객사(全州客舍)가 고유 이름인 풍패지관(豊沛之館)으로 바뀔 전망이다.

관사 또는 객관으로 불린 객사는 전주뿐 아니라 고려 이후 각 고을에 설치돼 방문한 외국 사신의 숙소나 연회장으로 사용됐고 조선시대에는 위패를 모시고 초하루와 보름에 궁궐을 향해 예를 올린 장소이기도 했다.

객사가 전주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닌 데다 일제강점기와 근.현대를 거치면서 명칭이 왜곡돼 고유 이름인 '풍패지관'으로 환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문화재청도 국가지정문화재 중 국보와 보물로 지정된 건조물 문화재의 명칭을 전면 개정키로 하고 각계의 의견을 듣고 있다.

전주 객사의 정문은 주관을 앞면으로 내삼문, 중삼문, 외삼문이 있었는데, 실제 주관 앞면에는 '풍패지관'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풍패지관은 조선에 온 중국 사신 주지번이 익산의 선비 송영구를 찾아가던 중 이 곳에 들렀다가 쓴 글씨로 전해진다. '풍패'란 한나라를 건국했던 유방(劉邦)의 고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건국자의 본향을 일컫는다.

전주는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본향으로 '풍패지향(豊沛之鄕)'이라 했으며 전주 객사는 '풍패지관'이라고 했다.

역사학자들이나 시민의 반응도 갑작스런 명칭 변경에 따른 혼란을 우려하면서도 대체로 긍정적이다.

홍성덕 전주대 역사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객사는 통칭이기 때문에 고유 이름인 풍패지관으로 바꾸면 우리 지역이 조선왕조의 발상지라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할 수 있을 것"이라며 "숭례문과 남대문을 한동안 함께 적어 사용했듯이 초기에는 풍패지관과 객사를 병기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문화재청 등은 풍패지관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이의 제기나 반발이 있으면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명칭을 확정하게 된다.

명칭이 바뀌면 고유 이름인 "풍패지관에서 만나자"고 하자.

-연합뉴스 2010.04.29

조선왕실 제사 '종묘대제' 내달 봉행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재청은 내달 2일 서울 종묘에서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종묘대제(宗廟大祭)를 봉행한다고 29일 밝혔다.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의 제사를 지내는 왕실 의례를 종묘제례(宗廟祭禮)라고 하는데, 조선왕조가 지내는 제사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고 중요한 제사였기 때문에 '종묘대제'라고도 불린다.

이날 행사는 오전 9시30분부터 2시간 동안 진행되는 영녕전 제향에 이어 경복궁→세종로사거리→종로 1ㆍ2ㆍ3가→종묘로 이어지는 어가 행렬과 오후 1시부터 거행되는 정전 제례 순으로 진행된다.

올해 봉행하는 종묘대제에는 종묘제례의 생생한 준비모습을 담은 영상물을 상영하고, 종묘대제 반차도를 디지털 영상으로 재현해 참관인들의 이해를 돕는다.

이번 행사는 문화재청과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이 공동주최하고, 종묘대제봉행위원회가 주관한다.

-연합뉴스 2010.04.29

광주비엔날레지원센터 내년 3월 완공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광주비엔날레를 홍보하고, 재단 사무 공간으로 쓰이게 될 광주비엔날레 지원센터가 내년 3월 완공된다. 광주비엔날레 재단은 28일 “광주시 북구 용봉동 비엔날레 전시관 옆 용봉제 부지 위에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2천391㎡ 규모로 지원센터 건립공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조감도>

국비와 시비 등 총 57억원이 투자되며, 설계 및 설계자문은 건축사무소 ‘사람’과 세계적인 건축가이자 내년 제4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총감독인 승효상씨가 각각 맡았다.

지원센터에는 비엔날레 재단 사무공간, 세미나실, 홍보관, 다목적 프로그램실, 식당 등이 들어선다.

광주비엔날레 관계자는 “호수경관을 그대로 살리면서 산만한 주변을 정돈, 연결시키는 기능을 확보하는데중점을 둬 광주의 대표적 예술 건축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10년 4월 29일

광주일보

구로구 미디어아트센터 건립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울 구로구는 고척동에 2012년까지 구로미디어아트센터를 건립한다고 28일 밝혔다. 아트센터는 지하 3층, 지상 7층, 총면적 1만86㎡ 규모로 미디어갤러리, 미디어극장, 미디어 교육장, 문화원 등이 들어선다.

2010년 4월 29일

한국일보

접붙이기 미학의 선구자 `佛 라비에` 서울서 개인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프랑스 현대미술가 베르트랑 라비에(61)가 서울 논현동 아틀리에 에르메스에서 개인전을 갖고 있다. 라비에는 1970년대 중반부터 회화와 조각의 영역을 넘나들며 작업해온 작가. '오브제 위의 또 다른 오브제'라는 '접붙이기' 조형 기법으로 주목받아 왔다.

6월27일까지 이어지는 이번 전시회의 주제는 '유령들'.1960년대 미니멀 아트의 대표 주자 프랭크 스텔라의 그림과 댄 플래빈의 형광등을 접목한 작품 등 16점이 출품됐다. '스타인웨이와 아들들'은 스타인웨이 피아노와 그 위에 반 고흐 터치의 회화적 기법을 접목한 작품이다. 마르셀 뒤샹의 변기를 작품화한 '레디 메이드'처럼 산업사회의 공산품을 통해 또 다른 색깔의 예술을 창안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작가는 "제 작품들은 유명 혹은 익명의 저자들의 '종자-시그니처'의 접붙이기 실험이며,여기에서 배양된 또 다른 시그니처의 종자들은 우리에게 유령이라는 색다른 경험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02)544-7722

2010년 4월 29일

한국경제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