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0

경기도, 올해 6개 박물관.미술관 건립 지원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경기도는 올해 박물관 4개와 미술관 2개 건립에 국비와 도비 63억6천여만원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23일 밝혔다.

지원되는 박물관은 안양 김중업박물관, 부천 옹기박물관, 과천 추사박물관, 남양주 유기농박물관이며, 미술관은 양평 군립미술관, 양주 천경자미술관 이다.

박물관에는 건립의 70%수준인 25억1천여만원이, 미술관에는 37억5천여만원이 지원된다.

한편 도는 115개 등록 사립 박물관과 미술관 운영에 올해 12억원을 별도 지원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2010.04.23

경기도, 수원서 '무형문화재 명품전' 개막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경기도가 무형문화재에 대한 도민 관심 제고와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들의 생산품 판로 확대를 위해 마련한 '무형문화재 명품전'이 23일 오후 AK플라자 수원점에서 개막됐다.

오는 29일까지 계속되는 명품전에는 나전칠기와 자수, 도자기, 금속공예 작품 등 도내 17명의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가 제작한 180여점의 작품이 전시.판매된다.

전시되는 작품은 몇 만원짜리 문화상품에서 최대 7천만원짜리 고가 작품까지 다양하다.

도와 AK플라자는 이번 명품전의 성과가 좋을 경우 전시.판매 행사를 분당점 등 다른 AK플라자 매장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도는 지난 19일 김문수 지사와 조재열 AK플라자 사장, 이규남 경기무형문화재총연합회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무형문화제 명품전 메세나 협약을 체결했다.

-연합뉴스 2010.04.23

美 김용 총장 '예술과학원' 회원에 뽑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미국 다트머스대 김용(51) 총장이 `예술과학원'(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의 회원으로 선출됐다고 22일 미주중앙일보가 전했다.

23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정책 연구기관인 예술과학원은 과학과 예술, 비즈니스, 비영리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리더들을 회원으로 뽑았다.

김용 총장은 1987년 빈민국 의료 구호활동을 위해 비영리 단체 '파트너 인 헬스'(PIH)를 설립, 20년 이상 아이티 현지에서 의료봉사를 전개했고, 최근 아이티 지진 때도 다트머스대 의료.보건 전문가들로 구성된 구호팀을 급파하는 등 헌신적으로 의료봉사한 공로가 인정됐다. 그는 하버드 의대 사회의료국 과장과 세계보건기구(WHO) 에이즈 담당 국장을 지냈다.

이 연구기관의 루이스 캐벗 의장은 "지금까지 선출한 229명의 리더는 각계 분야와 전 세계에 공헌한 선구자"라며 "우리는 그들에게 경의를 표한다"고 밝혔다.

2006년 타임지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에 뽑힌 그는 서울서 태어나 5세 때 부모를 따라 아이오와주에 이민했고, 브라운대학을 나와 하버드대에서 의학박사와 인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여년 간 하버드대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결핵 퇴치와 국제 의료활동에 앞장섰다. 지난해 아이비리그 중의 하나인 다트머스대 총장에 올랐다.

2010-04-22

연합뉴스

중요무형문화재 ‘소목장’ 박명배씨 기능보유자 인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박명배(60)씨가 중요무형문화재 제55호 ‘소목장’ 기능보유자로 인정됐다고 문화재청이 22일 밝혔다. 소목장은 장롱, 궤, 경대, 책상, 문갑 등 나무로 된 가구를 제작하는 장인으로 1975년부터 중요무형문화재 제55호로 지정돼 전승돼왔다.

문화재청은 “박씨는 기량이 뛰어나고 제작기법에 대한 지식이 우수하며, 후진 양성에도 힘써온 점 등이 높이 평가받았다”고 덧붙였다. 이번 보유자 충원은 기존 보유자가 명예보유자로 인정된 데 따른 것이다.

2010년 4월 23일

국민일보

Touch-이광호 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회화적 재현 기법이 보여줄 수 있는 극단까지 밀어붙인 ‘선인장’과 ‘풍경화’ 시리즈. 선인장의 섬세한 가시, 바람이 스치고 간 수풀 등 대상을 충실히 묘사한 작품은 때론 강렬하고 충격적으로, 때론 부드럽고 서정적으로 다가온다. 5월 16일까지 서울 종로구 소격동 국제갤러리 본관. 02-735-8449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