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2

목인박물관 ‘소도 웃고 말도 웃고…’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소, 말 등 아시아의 동물 목조각상을 선보이는 ‘소도 웃고 말도 웃고~우(牛)하하’전이 8월30일까지 서울 목인박물관에서 열린다. 종로구 견지동 82번지의 목인박물관은 목조각상 전문의 목인박물관.

지난해 ‘아시아의 목인’시리즈 제1탄으로 ‘중국탈 333’전을 연 데 이어 이번에 2탄으로 소와 말의 형상을 띤 목조각상과 관련 유물을 선보인다. 입구에 인도 문과 말 목조각이 설치된 전시장에는 중국의 호신용 조각 및 네팔 목인 외에 중국도교그림과 무신도 등 소와 말이 관련된 그림 및 악기 지팡이 탈 등 네팔 인도의 목조각을 전시 중이다. 02-722-5055

-문화일보 2009.7.22

김종영미술관 창작지원작가 개인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김종영미술관은 올해 신설한 창작지원작가의 개인전을 8월13일까지 마련한다. 미술관이 올해 처음으로 일반 공모를 통해 응모자 130여명 중 선정한 작가는 나점수 김지현 천영미씨 등 3명. 이들 3명의 창작지원 작가는 전시장의 3개층별로 따로 또 같이 개인전을 마련한다. 02-3217-6484

‘퍼니 스컵쳐 & 퍼니 페인팅’展

젊은 작가들의 튀는 아이디어와 실험이 돋보이는 ‘퍼니 스컵쳐 & 퍼니 페인팅’전이 8월14일까지 서울 갤러리세줄에서 열린다. 올해로 8회째 열리는 퍼니전에는 강주현, 김국화, 김기연, 김민형, 박수형, 손정희, 이원민, 최잔씨 등이 출품한다. 화랑측은 참여작가 중 ‘퍼니 어워드상’수상자로 1, 2명을 선정해 개인전의 기회를 제공한다. 02-391-9171

-문화일보 2009.7.22

모두를 위한 미술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모두를 위한 미술’을 내건 온라인 미술사랑방 ‘아트폴리’(대표 장효곤)가 8월 4일까지 서울 인사동 갤러리 라메르에서 ‘모두를 위한 온·오프 미술전’을 열고 있다. 자기 세계가 뚜렷한 젊은 미술인을 소개하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미술품 소장가를 지원하는 ‘아트폴리’는 이번 오프라인 전시회에 그동안 온라인에서 인기를 모았던 작가들 작품을 내놨다. 26일 오후 2시, 27·29일 오후 5시, 8월 1·3일 오후 2시 전시장에서 인디뮤지션 초대 공연이 열린다. 02-730-5454(www.artpoli.com).

- 2009.07.25 중앙일보

[문화 단신]‘배재학당 역사박물관’ 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영문을 한글로 완역한 최초의 소설인 ‘텬로력뎡(天路歷程)’의 목판이 일반에 공개된다. 서울 중구 정동에 위치한 배재학당 역사박물관은 24일부터 내년 2월까지 특별전시실에서 열리는 개관 1주년 기념전 ‘텬로력뎡’을 통해 소장 목판 108장과 책에 삽입된 풍속화가 김준근의 그림 18점을 함께 전시한다. 070-7506-0073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는 8월 7일 오전 10시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안중근 의거의 국제적 영향’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연다. 윤병석 인하대 명예교수가 ‘안중근 의거의 역사적 의의’를 발표하고 △안중근 의거가 국제사회에 미친 영향 △안중근 의거와 노령지역 독립운동 △안중근 의거의 현대사적 의의 등의 주제 아래 발표와 토론이 진행된다. 041-560-0402

- 동아일보 2009. 7. 23

부천에 ‘옹기 박물관’ 세운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경기 부천시 오정구 여월동 여월택지지구에 항아리 모양의 ‘옹기 박물관’이 세워진다.
23일 부천시에 따르면 사업비 72억원을 들여 2011년 8월까지 여월택지지구 내 3000여㎡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2100㎡ 규모의 옹기 박물관을 건립키로 하고 올 연말 공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옹기박물관 건립 취지는 조선시대 말 서울지역 천주교 신자들이 종교 탄압을 피해 여월동으로 이주해와 옹기를 구워 생계를 꾸렸다는 역사를 되새기고, 최근 웰빙 붐에 따라 각광을 받고 있는 전통 토기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서다.
옹기 형태에 갈색의 옹기 색깔을 띠게 될 박물관은 각종 옹기 600여점을 전시하고 움집과 가마 등을 갖춰 옹기 체험장으로 활용된다.
부천은 현재 만화박물관·유럽자기박물관·교육박물관·활박물관 등 9개 박물관이 들어서 있어 ‘박물관 도시’로 불리고 있다.

- 서울신문 2009.07.24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