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2

■ EXHIBITION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지평선 너머의 꿈 -김영갑 사진전
① 7월 19일까지 ② 서울 중구 흥인동 충무갤러리(02-2230-6678) ③ 1000∼2000원 ④ 2005년 작고한 뒤 서울에서 열리는 첫 개인전. 1985년 제주도에 정착한 뒤 루게릭병으로 타계하기 전까지 제주도의 아름다움을 카메라 앵글에 담아온 열정의 사진작가. 그의 혼이 담긴 풍경이 숨 막히는 일상에 갇혀 사는 이들의 마음에 꿈과 희망을 되살아나게 한다

◆ 유선태 전
① 30일까지 ② 서울 강남구 신사동 필립강 갤러리(02-517-9014) ③ 무료 ④ 펼쳐진 책 속에 푸른 하늘과 바다 등 자연이 가득 담겨 있고 책 옆에는 빨간 사과가 얌전하게 그려져 있다. 화가가 지속적으로 그리고 있는 ‘말과 글’ 시리즈 중 책이 있는 풍경만 모았다

◆ 한애규 전
① 28일까지 ② 서울 강남구 대치동 포스코미술관(02-3457-1665) ③ 무료 ④ 흙을 빚어 굽는 테라코타 작가는 도예와 조각을 접목한 작품을 선보인다, 수백, 수천 년 동안 살다간 사람의 흔적이 묻어 있는 폐허의 풍경이 쓸쓸하다

◆ 러브 이즈 레인보우 전
① 6월 30일까지 ② 서울 중구 남대문로 롯데본점 애비뉴엘 9층 롯데아트갤러리(02-726-4428) ③ 무료 ④ 강미선 김덕기 김은기 김지애 김주호 박성수 이에스더 등 작가 10명이 사랑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평면과 입체 작업으로 선보인다

- 동아일보 2009.5.15

[신간] '예술가를 말하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전설의 큐레이터 예술가를 말하다 = 캐서린 쿠 지음. 김영준 옮김. 저자는 1904년에 태어나 1994년 사망하기까지 화상이자 미술관의 큐레이터로 미술계에 큰 족적을 남긴 인물이다. 특히 16년간 미술관인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에서 활동하면서 건축가 미스 반데어 로에, 화가 마크 로스코, 에드워드 호퍼 등과 교분을 나눴다.
저자는 이런 대가급 예술가 16명에 대해 틈틈이 기록해놨다. 이 기록들을 묶고 미완성분은 미술사학자 에이비스 버먼이 보완해 2006년 펴낸 책이다.
아트북스. 480쪽. 1만5천원.

▲우리는 모두 행복한 꽃이다 = '우리 시대의 수묵인'으로 불려온 남천 송수남(71) 화백이 일상의 단상을 짧은 수필 형식으로 썼다.
예를 들면 '환쟁이'라는 꼭지의 글에서 송 화백은 "그림으로밖에 말을 할 줄 모르는 무지함이 바로 나입니다. 생각해보면 이런 저를 알고도 눈감아준 학생들이 고마울 뿐입니다"라고 겸손함을 내비쳤다.
중간 중간 삽입된 그의 수묵화가 보는 재미를 준다.
이야기꽃. 80쪽. 7천원.

-연합뉴스 2009.5.14

[전시회 산책] ‘최덕주 조각보’전 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최덕주 조각보’전이 15~30일 서울 동숭동 쇳대박물관에서 열린다. 공예를 전공한 최씨는 한 땀 한 땀 정성으로 잇는 조각보의 세계에 빠져 자수 명장 김현희 선생을 사사했다. 02-766-6494.
◆사진가 안장헌씨가 ‘창호(窓戶)’전을 연다. 월간 ‘영상’ 편집장 출신으로 ‘한국미술 오천년’(현암사) 기획 및 편집을 담당했던 안씨는 이번에 구중궁궐·사대부가·서원 등 한옥의 창호를 찍어 전시한다. “창은 빛과 바람의 통로이며, 호는 사람이 드나드는 문”이기 때문이란다. 20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서울 인사동 갤러리 북스. 02-737-3283.
◆강민권씨가 ‘시간의 알레고리’전을 연다. 그는 컴퓨터를 이용해 사진을 합성한 뒤 이를 캔버스에 유화 물감으로 그린다. 한 사람이 거치는 소년·청년·노년 모습을 한 화면에 그리는 식이다. 서울 관훈동 인사아트센터에서 27일부터 6월 2일까지. 02-736-1020.
◆누드화가 류영도씨가 전시회를 연다.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열리는 ‘한국구상미술대제전’에 22∼29일 출품하는 것을 시작으로 서울 관훈동 인사아트센터에서 27일부터 6월 2일까지 개인전, 이어 광주광역시 대동갤러리에서 6월 11∼17일이다. 02-580-1641.
◆강은구(30)씨가 서울 동숭동 샘터갤러리에서 26일까지 첫 개인전을 연다. 강씨는 청계천 2가 철물점 골목에 작업실을 두고 각종 산업 부품을 미술품으로 만드는 젊은 조각가다. 그는 서울문화재단이 만든 ‘금속문화공방’이라는 이름의 창작 스튜디오에 1기 입주작가로 들어가 있다. 부친이 20여년째 운영하고 있는 금속 절단 가게도 지척이다. 강씨는 전시에서 금속판을 자르고 굽혀 도심에서 바라본 남산, 포항제철소의 밤 등 실루엣을 표현한 작품을 선보인다. 02-3675-3737.
◆서울 관훈동 노화랑은 20일까지 ‘작은 그림 큰 마음’전을 연다. 김태호·박훈성·이두식·이석주·이수동·이왈종·장이규·전광영·한만영·황주리씨 등 10명 작가의 소품 각 15점을 200만원씩에 판매한다. 노화랑은 1991년부터 100만원 균일가전을 기획해 왔다. 02-732-3558.

-중앙일보 2009.05.14

New Exhibition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줄리안 오피 개인전 영국 출신의 세계적인 작가 줄리안 오피의 첫 공식 한국 개인전. 줄리안 오피는 앤디 워홀 이후 팝아트를 대표하는 작가로, 주변 인물을 모델 삼아 픽토그램을 연상케 하는 뚜렷하고 단순한 선으로 묘사한다/ 5월31일까지/ 국제갤러리 신관/ 02-735-8449

권부문 사진전 ‘북풍경’ ‘북풍경’은 권부문이 2008년 발표한 북극지방 풍경사진 시리즈에 붙인 제목이자, 그의 작품세계의 기저를 형성하는 태도다. ‘북’이 암시하는 추위, 고립, 침묵은 자연의 광활함 앞에서 체험하게 되는 자기 성찰의 내적 풍경이다/ 6월15일까지/ 부산 조현화랑/ 051-747-8853

김형관 개인전 ‘Afterglow’ ‘Afterglow’는 해질 무렵 비치는 약한 햇빛 혹은 외부의 에너지 공급이 중단된 뒤에도 방출되는 빛을 말한다. ‘검은 그림’을 계속 그리는 김형관은 이번에도 여전히 대상이 잘 보이지 않는 그림을 통해 관람자에게 충실히 ‘볼 것’을 요구한다/ 5월31일까지/ 헤이리 갤러리소소/ 031-949-8154

- 주간동아 2009.5.12

[book] 대한민국 아파트 발굴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장림종·박진희. 효형출판. 1만5000원
재건축 또는 재개발로 곧 사라질 ‘오래된 아파트’에 대한 기록이다.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이 아파트에 살지만 우리나라 아파트의 역사는 채 100년이 넘지 않는다. 사라져 가는 ‘1세대 아파트’를 통해 아파트의 깊이를 재발견한다.

- 주간조선 2009.5.1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