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2

New Exhibition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L.A. 토마리 개인전 - ‘la’ L.A. 토마리는 일본에서 신문광고, 포스터 등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포토그래퍼로, 작업할 때 인공조명이나 디지털화된 스트로크(stroke) 대신 자연광을 이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전시 제목 ‘la’는 하와이 전통어로 ‘태양’ 또는 ‘낮’을 뜻한다/ 4월26일까지/ 갤러리 팩토리/ 02-733-4883

동유럽 작가 3인전 냉전의 해체와 문화적 이산의 시대를 겪은 30, 40대 동유럽 작가 3인의 전시. 마틴 마닉은 독일에서, 슬라보미르 엘스너와 조안나 웨직은 폴란드에서 태어났으며 현재 각각 드레스덴, 베를린, 뉴욕으로 이주해 활동하고 있다/ 5월17일까지/ 국제갤러리/ 02-735-8449

드림하우스 전 서서히 잊혀가는 ‘용산참사’를 기억하자는 취지에서 기획된 그룹전. 김기수 고승욱 양성윤 조민호 안규철 강홍구 안현숙 김지은 최선아 최원준 등 10명의 작가가 참여했다/ 4월29일~5월15일/ 대안공간 풀/ 02-396-4805

- 주간동아 2009.4.28

대전시립미술관장에 송번수 홍익대 교수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차기 대전시립미술관장에 송번수(66)전 홍익대 미술대학 공예과 교수가 최종 선임됐다.
대전시는 3일 대전시립미술관 공개채용 결과 송번수 씨가 임용됐고, 오는 14일부터 2년간 대전시립미술관장으로 활동하게 된다고 밝혔다.
충남 공주 출신인 송 차기 관장은 한밭중학교와 대전상고를 거쳐 홍익대 미술대학 공예과및 동대학원을 졸업했고, 1977년 파리 국립미술학교에서 수학했다.
섬유, 판화 분야에서 대표작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송 차기 관장은 지난 1968 제1회 한국판화전 최고상, 1972 제2회 서울국제판화 비엔날레의 대상, 2001년 헝가리 개국 1000년 기념 국제 타피스트리 전시회에서 최고상 등 다수 수상했다.
그는 또 지난 1984년 경기도 용인에 개인미술관인 마가미술관을 짓고 섬유공예와 판화작품 위주로 전시회를 열고있다.

- 대전일보 2009.5.4

[수도권/단신] 한성대입구역에 ‘디자인서울거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울시는 성북구 동소문동 사거리∼한성대입구역 700m 구간을 ‘디자인서울거리’로 조성했다고 6일 밝혔다. 이 거리는 보행로가 대폭 확대되고 가로등과 맨홀, 가판대 등이 산뜻한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특히 1424개에 이르는 불법 광고물을 모두 철거하고 ‘1업소 1간판’ 원칙을 적용해 시 디자인 규격에 맞춘 255개 간판을 새롭게 설치했다. 시는 이번에 정비된 동소문로를 주민 제안에 따라 ‘아라리로’로 부르기로 했다.

- 동아일보 2009.5.7

건축가와 미술가가 함께…‘공적 공간 사적 공간’展 14일까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건축가와 미술가가 각각의 작품을 통해 ‘공간’을 바라보는 시선을 교류하는 ‘공적 공간 사적 공간’ 전시회가 14일까지 서울 종로구 동숭동 갤러리 정미소에서 열린다.
건축가 정수진 김동원 봉일범 김동진 이현호 이수열 조준호 씨와 미술가 권기범 김영섭 김정주 박대성 이문호 이배경 씨가 참여해 가구를 이용한 설치예술작품, 도시 공간을 소재로 한 소묘와 조형물, 건축물 사진과 작품 모형, 디자인 개념 스케치를 선보인다. 장윤규 갤러리 정미소 대표는 “현대 도시에서 찾을 수 있는 공간의 다양한 모습을 함께 돌아보면서 ‘삶의 공간, 살아 있는 공간’에 대한 대안을 찾아보려 한다”고 밝혔다. 참가자들은 이번 전시에서 얻은 공동의 성과를 바탕으로 5개월간 공동 작품을 만들고 10월 8일 같은 주제로 두 번째 전시를 연다. 02-743-5378

- 동아일보 2009.5.7

혜촌 김학수 화백 별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국내 최장 ‘한강전도’를 그린 역사풍속화가 혜촌(惠村) 김학수(사진) 화백이 6일 오전 2시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1.

고인은 이당 김은호와 소정 변관식 선생을 사사해 ‘삼강행실도’, ‘궁궐도’ 등 민족의 생활상이 담긴 역사풍속화와 위인화, 기독교 성화를 주로 그려 왔다. 특히 1964년부터 2006년까지 40여년 동안 한강 1300리를 폭 48㎝, 길이 20m가량의 두루마리 화선지 26권(전체 길이 350m)에 담아낸 대작 ‘한강전도’로 유명하다.

평양에서 태어난 고인은 6·25 때 부인과 2남 2녀를 남겨두고 월남해 끝내 홀로 살았다. 의정부 경민대 ‘혜촌선생 기념관’에서는 그의 작품을 상설 전시 중이며, 김해 인제대는 ‘김학수 기념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빈소는 서울백병원이며 발인은 8일 오전 7시다. (02)2270-0479.

한겨레 2009.5.7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