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7

미술평단 2007년 겨울호 발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최근 한국미술평론가협회에서 미술평단 2007년 겨울호(87호, 72쪽)를 발간했다.

■ 주요내용

[논단]
- 박수근과 이중섭의 작품에서 정념과 현재적 가치 | 김용민
- 구스타프로 모로(Gustave Moreau)의 <환영(L'apparition)>에 나타난 거세환상 (fantasme de castration)의 모티브 | 조선령
- 황주리의 작품세계 | 윤진섭
- 마네의 응시(Regard)-폴리 베르제르 바 (Le Bar aux Folies-Bergere)를 중심으로 | 남인숙

<단신> 김경옥씨의 개인전 등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고목에 담긴 시간성과 세월의 흔적을 주목해온 김경옥씨의 개인전이 14일까지 서울 동산방화랑에서 열린다. 주제는 ‘회화의 정원’. 작가는 150회 이상 겹칠한 바탕을 그라인더로 깎아내는 작업을 통해 고목 껍질이나 뻗어나간 나뭇가지 형태를 정교하게 살려낸다. 02-733-5877

●… 서울과 광주를 오가며 작업해온 김영삼씨가 5년만의 개인전을 11일까지 서울 학고재에서 갖는다. 30년여 문인화를 그려온 김씨는 고향 진도의 바다를 소재로 물결만 드러나는 ‘마음자리’를 발표한다. 바람, 공기의 흐름을 주목하며 자연의 기운을 담아낸 신작이다. 02-739-4937

●… 국민일보갤러리는 개관 1주년 기념전으로 조각가 김윤신 회화전을 23일까지 연다. 함남 원산 출신의 작가는 파리 유학후 서울에서 조각가로 활동했으며 1983년 이후 아르헨티나로 옮겨 작업해왔다. ‘내 영혼의 노래’란 주제의 서울전에서는 최근 몰두해온 회화 30여점을 선보인다. 02-781-9218


문화일보 2007.12.06

<화제의 전시>누드에 담은 희로애락 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누드에 담은 희로애락
원로화가 김흥수 개인展

원로화가 김흥수(88) 화백이 개인전을 통해 300호 이상 대작을 선보인다. 제주현대미술관 김흥수관 개관 및 김화백 특유의 하모니즘 30주년을 기념한 전시가 6~31일 서울 ‘미술관 가는 길’에서 열린다.

구상으로 그린 화려한 여성누드에 추상을 조화시킨 하모니즘은 김 화백이 부산 피란시절 구상해 시도한 화풍. 여인누드 속에 평화의 메시지와 인생의 희로애락을 표현한 작업이다. 02-738-9199



화면 가득 ‘線의 미학’
젊은작가 오정은 개인展

화면 속 곡선의 이미지를 자세히 살펴보면 섬세하게 선을 그어 이뤄낸 수많은 실타래들의 집합처럼 복잡미묘한 구조를 드러낸다. 작가가 엉킨 마음을 풀어내듯 집중하고 몰입해서 선으로 채웠다는 화면은 크게는 원, 사과를 연상케 하고 부분적으론 현미경속 세상처럼 오밀조밀한 형체를 안고 있다.

정교한 드로잉작업을 추구해온 ‘젊은 작가’ 오정은씨. ‘자아를 찾아가는 투명한 여행일지’란 제목의 개인전을 11일까지 서울 학고재 제1전시장에서 갖는다. 작가는 가는 붓을 이용해 일기 쓰듯 균일한 물방울이나 구슬의 집합체 속에 세밀한 일상을 기록하듯 펼친다. 02-739-4937


문화일보 2007.12.06

연합뉴스 미술담당 경수현기자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연합뉴스 문화부 미술담당이 조채희기자에서 경수현기자로 교체되었다. T. 398-3459

이규보 서화예술대전 수상작 전시회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인천 계양구 계양문화원은 오는 11일까지 구청 지하1층 전시실에서 이규보 서화예술대전 수상작 작품전시회를 갖는다.
계양문화원은 고려시대 문인이자 문신인 백운거사 이규보 선생의 얼을 기리기 위해 올해로 8회째 이규보 선생 서화예술대전을 열고 있으며 지난 달 2~3일 작품 공모를 실시했다.
이번 공모에는 602점이 접수됐으며 일반부 대상 홍현순(남구 용현동)씨, 학생부 대상 박현(서인천고 2)군이 각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한편 수상자 시상식은 오는 8일 오전 11시 구청 대강당에서 실시한다.

-인천일보 12.6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