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8

삼성문화재단 파리아틀리에 입주작가 한성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삼성문화재단은 내년 4월부터 1년간 파리국제예술공동체 (Cite Internationale des Arts)에 입주할 작가로 사진작가 한성필(36)씨를 선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삼성문화재단은 1996년부터 2060년까지 파리국제예술공동체에 15평 규모의 아틀리에를 장기 임대해 운영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조용신ㆍ윤애영, 김영헌, 금중기, 박은국, 김진란, 한기창, 김소연, 나현 등을 입주 작가로 선정했다.
-연합뉴스 9.10

‘건물 전면(前面)공간 문화공간화 방안’ 심포지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관광부는 ‘건물 전면(前面)공간 문화공간화 방안’과 관련된 심포지엄을 14일 오후 1시30분 서울 광화문 KT 아트홀에서 개최한다. 현재 건축법에는 연면적 합계 5천 ㎡이상인 문화·업무·숙박시설을 세울 때 시민들의 문화 공간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그러나 많은 경우 이들 공간이 기업의 주차장 등으로 전락한 실정이다. 이번 심포지엄은 건물 전면 공간이 실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점검하고 대책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 행사는 문화부가 주최하고 중앙일보와 KT가 후원한다.
 
-중앙일보 9.11

헤이리 금산갤러리 도쿄에 지점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헤이리 금산갤러리(대표 황달성)가 올해 5월 중국 베이징 다샨쯔 지역에 베이징 지점을 낸데 이어 14일에는 일본 도쿄 지점 '스페이스 355'를 개관한다고 10일 밝혔다. 개관전으로 문신을 소재로 한 작품을 내놓고 있는 작가 김준의 개인전을 10월7일까지 계속한다. ☎031-957-6320,6324.

연합뉴스 2007.09.10

[문화소식] 가인갤러리 샤오제 시에展 등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미국과 중국을 오가며 활동하는 중국 작가 샤오제 시에(41)는 도서관에 쌓인 책과 신문지 더미를 그려내고 사진으로 찍는 작가다.
책더미가 만들어내는 기하학적인 패턴을 그리는 것 뿐만 아니라 세월에 의해 낡고 힘을 잃어가는 오래된 것들에 대한 애잔한 향수를 그림 속에 담았다. 특히 어두운 배경 속에서 중국의 고서가 불타오르는 사진 연작은 멀게는 진시황의 분서갱유를, 가깝게는 마오쩌둥의 문화혁명을 떠올리게 한다고 가인갤러리 신혜영 큐레이터는 지적했다.
평창동 가인갤러리에서 10월7일까지. ☎02-394-3631.

▲박상희, 박은하, 장희진, 박형근, 이명호 등 젊은 작가 5명의 단체전 '다색다감'이 홍대 앞 갤러리 잔다리에서 열리고 있다.
각양각색의 감성을 담은 회화 작가 3명과 사진작가 2명의 작품. ☎02-323-4155.

▲독일 사진작가 엘리스카 바르텍이 특색있는 꽃 사진을 신사동 아이엠아트에서 전시하고 있다. 만개한 꽃 위에 컬러필터를 결합시켜 형광빛 푸른색이 두드러진다.
보들레르의 '악의 꽃'이 연상되는 괴기스럽고도 신비로운 사진. 14일부터 다음달 6일까지. ☎02-3446-3766.

▲청담동 마이클슐츠갤러리에서 한국작가 김유섭의 개인전이 열리고 있다. 갤러리 대표인 독일 화랑주 마이클 슐츠가 발굴한 한국작가로 에너지 넘치는 추상화를 만드는 작가. 9월15일까지. ☎02-512-6470.

▲파주출판도시 내 갤러리 지지향(紙之鄕)에서 원로사진작가 주명덕이 한옥과 인물을 찍은 흑백사진40여점이 전시되고 있다. 10월14일까지. ☎031-955-0090.

중국현대미술 소개 전시 '북경제조'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홍익대 현대미술관에서 17일부터 21일까지 중국 현대미술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하는 전시 '북경제조(北京制造)'가 열린다.
홍대 회화과가 주최하고 베이징 다샨쯔 798예술구역의 전시공간인 마스더비 당대예술중심이 주관한 이번 전시에서는 1960년 이후에 출생한 중국 회화, 사진, 설치작가 30여명의 작품이 전시된다.
17일 오후 1시30분에는 한국과 중국 학자들이 참여하는 학술 세미나도 개최된다. ☎02-320-1322.

연합뉴스 2007.9.10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