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8

박물관에서 대동여지도를 만나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박물관에서 대동여지도를 만나다(국립중앙박물관 엮음, 열린박물관, 48쪽, 6000원)=일반인들을 위한 대동여지도 입문 교양서. 대동여지도의 제작 과정과 의미, 김정호 선생의 열정 등을 다뤘다.

중앙일보 2007.09.08

[BookBriefing] 『미술과 페미니즘』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현대 미술계의 호평을 받은 영국 파이돈 출판사의 ‘테마와 운동’시리즈 중 첫 권으로 『미술과 페미니즘』(헬레나 레킷 지음, 오숙은 옮김, 미메시스, 304쪽, 6만8000원)이 번역되어 나왔다. 1960년대에서 90년대까지 여성 미술의 역사를 다양하고 풍부한 도판을 곁들여 검토하고 페미니즘의 이상과 실제 작업 사이의 변화를 짚은 역저이다.
 
◆선사 시대의 질그릇부터 조선시대 백자까지 우리 도자기의 발달사를 구어체로 풀어낸 『우리 옛 도자기의 아름다움』(윤용이 지음, 돌베개, 368쪽, 1만8000원)이 출간됐다. 청자· 백자 중심의 논의에서 벗어나 각 시대의 역사·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국 도자기의 탄생과 발전· 쇠퇴를 설명한 한국 도자사 개설이자 교양서다.

◆’조선시대 기록문화의 보물창고’로 불리는 규장각의 보물들을 소개하는 『규장각에서 찾은 조선의 명품들』(신병주 지음, 책과함께, 416쪽, 1만8500원)이 나왔다.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학예연구사인 지은이가 책뿐만이 아니라 그림, 글씨, 지도 등 규장각 소장품 중에서 대표적 작품들을 골라 찬찬히 설명해 문화사로도 읽힌다.
-중앙일보 9.8

[새로 나온 책] 우리 옛 도자기의 아름다움 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우리 옛 도자기의 아름다움(윤용이 지음) = 한국 도자기의 발달사를 흥미진진하게 서술한 한국 도자사 교양 입문서. 선사시대의 질그릇부터 조선시대의 백자까지, 각 시대의 역사·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국 도자기의 역사를 살펴본다.한국인이 살았던 현장 어디에서나 발견되는 도자기는 한국인의 삶을 통시적으로 보여주는 역사이며, 삶의 증거다. 돌베개, 1만8000원.

◆규장각에서 찾은 조선의 명품들(신병주 지음) = 조선시대 기록문화의 보물창고인 규장각의 대표적인 자료들을 소개하는 책. 규장각은 조선 22대 왕 정조가 창덕궁에 세운 학문연구기관이자 개혁의 산실. 규장각에 소장된 수많은 작품 중에서 대표적인 작품들을 골라 내용과 저자, 탄생 배경 등을 소개하고 그 현재적 의미와 가치를 살펴보고 있다. 책과함께, 1만8500원.

-문화일보 9.7

당진서 `2007 충남 아트페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충남 당진군은 오는 8-14일 당진 문예의전당에서 미술작품 전시 판매행사인 `2007 충남 아트페어'를 연다고 7일 밝혔다.
충남아트페어 조직위원회 등과 함께 지역에서 처음 여는 이번 아트페어에는 강규성, 김기성 등 지역 유명 작가와 전국 유명 현대미술 초대작가들이 출품한 미술품을 관람하며 저렴한 값으로 구입할 수도 있다.
아울러 아트페어 기간에 당진 깃발 미술제를 비롯해 개막 퍼포먼스, 비보이 공연, 전국 학생미술실기대회, 초상화그려주기, 작가와의 만남 행사 등도 곁들여진다.
군 관계자는 "서해안권을 중심으로 한 지역미술의 저변 활성화를 꾀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9.7

문화예술위원장에 화가 김정헌씨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관광부는 7일 화가 김정헌(61.공주대 미술교육과 교수)씨를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제2대 위원장으로 임명했다. 임기는 3년.
이에 앞서 문화예술위 임원추천위원회는 지난달 20일 김씨와 함께 이영조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교수, 구광모 중앙대 행정학과 교수 등 3명을 새 위원장 후보로 문화관광부 장관에게 추천했다.
신임 김 위원장은 평양에서 태어나 용산고와 서울대 미대 회화과, 동대학원 서양화과를 나왔다. 이화여고 교사를 거쳐 1980년부터 공주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난달까지 문화연대 상임공동대표로 활동했다.
-연합뉴스 9.7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