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8

8월 31일 화제의 전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모든 것은 연결돼 있다

정혜진의 ‘C Gene:되기’. 토포하우스(02-734-7555) 9월4일까지. 형광색이 감도는 꽃분홍색과 선명한 녹색을 대비시키킨 작품들은 낯설고 기괴하면서도 천진난만하다. 2004년 털을 몽땅 벗긴 통닭, 썩어가는 과일, 알록달록한 핀을 잔뜩 박아넣은 식물 등 이미지 강렬한 사진을 전시했던 작가는 이번에는 조각과 회화 작품을 보여준다. 작가는 “눈물 흘리는 여인, 양, 해태 등 플라스틱 조각에 회화처럼 색을 입힌 것은 상관 없어보이는 대상들을 ‘콜라주’처럼 연결시키는 작업의 연장선”이라고 말한다.

중국 1세대 사진작가의 액션포토

‘왕칭송 개인전’. PKM갤러리(02-734-9467)에서 9월29일까지. 중국 1세대 사진작가의 ‘액션포토’ 위주 16점이 전시된다. 액션포토는 과장된 극적 요소들로 연출된 사진. 서양의 명화, 현대의 친숙한 기호나 상징 등을 차용해 소비주의와 극단적 자본주의 속에서의 덧없는 삶을 냉소적으로 표현한다. ‘또 다른 전투, 2001’은 맥도널드 간판을 향해 전진하는 군인들과 부상입은 작가 자신의 모습이 소비를 향해 돌진하는 우리네 현주소를 지적하는 듯하며 ‘중국 맨션 2003’은 소비와 향락의 허망함을 과장해 보여준다.

사진일까 그림일까

‘카메라로 그린 그림’. 이화익갤러리(02-730-7818) 9월8일까지. 회화-사진의 경계가 무너지는 가운데 사진발명의 초기처럼 회화를 닮아가는 사진들을 모았다. 샤넬 모델 출신인 패션사진가 사라문의 초현실주의적인 작품, 리베라시옹 사진기자를 지낸 프랑스와즈 위기에의 렘브란트적 분위기, 백자의 선과 긁힌 상처에서 세월 또는 비움을 읽어낸 구본창, 있는 듯 없는 듯, 보일 듯 말 듯한 존재의 순간을 흑백으로 잡아낸 민병헌 등. 붓 대신 사진기로 그림을 그리는 화가들이다.

창문 밖 ‘자연’과 창문 안 ‘인공’

박소영 개인전 ‘순간의 영감’. 공근혜갤러리(738-7776) 9월16일까지. 작가가 난지창작스튜디오에 입주한 동안 그린 작품들. 지하 작업실에서 자연 속의 창문 큰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벌어진 인식의 확장이 그대로 반영돼 있다. 창 너머 색깔이 변해가는 자연과 인공적인 내부공간의 대비가 두드러진다. 작가가 타인과의 관계에서 받은 심리적 상처가 표현주의적으로 드러나기도 하며(‘오해의 만찬’) 결혼 이후 살림살이를 하면서 느낀 손에 대한 감사가 드로잉처럼 표현돼 있다(손 시리즈).
- 한겨레 8.31

조영남씨 화투 그림 보러오세요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가수 조영남씨가 서울 남대문로 밀레니엄 힐튼호텔에서 작품전을 갖고 있다. 조씨는 화투를 소제로 지난 30여년간 그림을 그려 온 작가. 알록달록한 그의 화투 그림은 일장춘몽의 인생을 들여다보는 듯하다.

상업화랑이 아닌 호텔 지하 1층과 2층 로비에 마련된 이번 전시의 주제는 '미술쇼'.걸쭉한 입담처럼 재미있는 화투와 바둑 바구니 코르크 태극기 등이 담긴 작품 30점을 걸었다. 10월26일까지.(02)317-3014

-한국경제 8.30

정혜진씨 토포하우스서 개인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조각과 회화의 경계를 넘나드는 정혜진씨의 개인전이 서울 인사동 토포하우스에서 열리고 있다.

전시 주제는 'C-GENE:되기'다.

'C-GENE'는 '정혜진의 유전자'라는 뜻.과학과 예술의 관계,예술 장르 간의 관계를 탐구해 온 정씨의 작품세계를 상징한다.

이번 전시에는 눈물 흘리는 여인을 비롯해 양,해태 등을 플라스틱 소재로 조각한 작품 등 30여점을 내놓았다.

정씨의 작품은 지난해 6월 영국 런던 본햄스 경매에 출품돼 고가에 팔렸다. 다음 달 4일까지. (02)734-7555
-한국경제 8.30

창경궁 집춘문 100년만에 개방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종로구(구청장 김충용)
창경궁의 동쪽 문인 집춘문(集春門)이 100년만에 개방된다. 창경궁과 문묘를 연결하는 다리 거동로를 설치해 줄 것을 문화재청에 건의했다. 집춘문은 일반 관리들은 다닐 수 없고, 임금이 성균관의 공자 사당에 작헌례(능이나 사당을 참배하고 술잔을 올리는 행사)를 올릴 때 이용하던 문이다. 거동로도 임금과 왕세자가 주로 다녔다. 집춘문을 개방하면 종묘→창경궁→문묘를 연결하는 관광로가 열리는 셈이다. 문화체육과 731-0359.


서울신문 2007.08.30

어머니 같은 푸근한 여인상… 고정수 조각+사진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선 굵고 탐스러운 여체 조각으로 생명력의 본질을 탐구하는 고정수(60)씨가 서울 인사동 선화랑에서 15번째 개인전을 갖는다. 돌이나 브론즈로 만드는 그의 조각은 오동통한 몸매에 평화로운 분위기를 간직한 여인상으로 다산과 풍요를 상징하며 어머니와 고향을 떠올리게도 한다.

1966년 홍익대 조소과에 입학한 후 지금까지 30여년간 여성상에만 몰두하고 있는 작가는 "여체를 조각하는 일은 끝이 안보이는 숙제"라며 "인체를 해체하거나 비구상적으로 재현하기보다는 인간의 실제 모습과 가장 비슷하게 빚어내는 작업"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는 올해 회갑을 맞아 곳곳의 자연을 찍은 사진에 자신의 조각을 합성한 사진작업을 처음 시도했다. 사진 속 조각상들은 답답한 전시장을 벗어나 구름 위에 둥실 떠 있기도 하고 멀리 낙조를 보며 앉아 있거나 푸른 바다에 몸을 맡긴 채 누워 있기도 한다.

이를 위해 1년간 포토샵을 배운 작가는 "엉덩이 등 뒷모습도 관객들에게 보여주고 싶다는 조각들의 소리없는 아우성에 이번 작업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조각 45점을 전시하는 1부(9월11일까지)와 사진 21점을 내놓는 2부(9월14∼29일)로 구성된다(02-734-0458).
-국민일보 8.30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