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8

3인3색 풍경 ‘별과 바람’전 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3인3색 풍경 ‘별과 바람’전-

갤러리 소소(파주 헤이리예술마을)는 풍경에 대한 작가들의 독특한 시각을 살필 수 있는 3인전 ‘볕과 바람’ 전을 열고 있다. 풍경을 자신만의 내면세계로 재해석해내는 감민경, 익숙한 듯한 공간을 낯설게 하는 노충현, 빛바랜 명화의 한 장면 같은 특색을 보이는 윤정선씨가 참여했다. 31일까지. (031)949-8154

-정빛나·김명진 한국화 개인전-

한국화가 정빛나, 김명진씨가 23일부터 서울 정동 경향갤러리에서 각각 개인전을 연다. 정씨는 일상 속에 담긴 익살적인 한국의 미를 재해석하며, 김씨는 나무를 소재로 한 작가의 다채로운 감성을 화폭에 담아낸다. 29일까지. (02)6731-6751

-도예가 김대훈 ‘박제된 기억’전-

도예가 김대훈씨가 갤러리 쌈지에서 26일까지 도판전 ‘박제된 기억’을 선보이고 있다. 판화의 에칭 기법 같이 날카로운 선과 흐릿한 색감 등 회화적이고 감성적인 도판 작품과 생활 용품인 머그 등이 설치된다. (02)736-0088

-엉뚱발랄 변웅필 드로잉전-

화면을 가득 채운 민머리의 자화상으로 미술시장의 주목을 받은 젊은 작가 변웅필씨가 연필과 수채물감으로 내공을 담아 그려낸 첫 드로잉전 ‘설레임’을 26일까지 두아트갤러리에서 열고 있다. 엉뚱한 소품과 인위적인 상황 설정 등의 화면은 관객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02)2287-3528

-독창적 집 연작 ‘홈 스위트홈’-

문자나 숫자, 색상, 기호 등을 해체해 재조립함으로써 또 다른 의미를 만들어내는 박미나씨가 사루비아다방에서 개인전 ‘홈 스위트 홈’ 전을 갖고 있다. 8년째 계속 중인 ‘집’ 연작으로 장식적인 부호기능을 해온 딩벳폰트를 회화적인 언어로 도입해 시각적 유희와 함께 작가의 독창성을 확인시킨다. 31일까지. (02)733-0440

-현대 목판화 9인전 ‘나무물고기’-

마가미술관(경기 용인시)은 현대 목판화의 다채로운 맛과 멋을 전하는 ‘한국현대목판화 2000년대의 기수들-나무물고기’ 전을 25일까지 열고 있다. 이칠효, 이지은, 천진규, 오선영, 배남경, 이은희, 이재영, 김혜균, 김성민씨 등 9명의 작가가 50여점을 출품했다. (031)334-0365

-경향신문 8.22

베트남서 고구려 고분벽화 특별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이경숙 숙명여대 총장은 21~31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한국·베트남 수교 15주년을 기념해 문화예술관광연구소(소장 권희연) 주관으로 ‘고구려 고분벽화 특별전’을 개최한다.
-경향신문 8.22

송은미술대상에 정상현씨 선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송은문화재단(이사장 유상덕)은 21일 제7회 송은미술대상 대상 수상자로 영상설치작가 정상현씨(36)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수상작은 ‘펼쳐진 파란 방’. 우수상은 사진작가 박홍순, 한국화가 서윤희, 서양화가 최해리씨 등 3명이며 장려상은 김지현, 안경수, 이소영, 임근희, 조병왕씨 등 5명이다. 대상 수상자에게는 상금 2000만원, 우수상 3명에게는 각 1000만원이 지급된다
-경향신문 8.22

강익중씨 설치작품 ‘나의 소원’ 기증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미국 뉴욕에서 활동하고 있는 세계적인 설치미술가 강익중씨(46)가 김구 선생의 ‘나의 소원’ 내용 일부를 나무판에 새겨넣은 작품을 독립기념관에 기증키로 했다. 독립기념관에 기증될 ‘나의 소원’은 김구 선생의 ‘나의 소원’ 내용 가운데 323자를 가로, 세로 3인치 크기의 나무판에 새긴 작품이다.
-경향신문 8.22

[채널 선택 8월 22일] 추적 60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추적 60분 (KBS2 밤 11.05)

위작 유통의 실태 집중조명
위작유통의 실태와 우리나라 미술품 감정시스템의 현주소를 집중 보도한다. 시중에는 얼마나 많은 위작이 유통되고 있는지 인사동 화랑가 취재를 통해 확인해보고, 그 대안을 함께 모색해 본다.
-한국일보 8.22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