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9

[이철주씨 회고전] 인물에서 추상까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10일까지 금호미술관

수묵담채의 사실적인 그림을 그리던 이철주(66)씨는 1970, 80년대 인물화가로 자리를 굳히더니, 90년 이후 비구상의 세계로 들어갔다. 그 무렵 선보인 <우주로부터> 연작은 자유로운 필선의 율동으로 심상을 표현함으로써 동양화의 개념을 넓히고 서양 추상양식과 결합한 것이었다. 2000년대 들어 그의 작품은 다시 변한다. 화면에서 형상은 거의 사라지고, 표현은 더욱 단순해지고, 필선은 절제되고, 화려한 색상은 흑백으로 바뀌었다.
그가 해온 실험의 궤적을 보여주는 회고전이 금호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다. 근작은 먹으로 이루어진 대형 퍼즐 작업이 주를 이룬다. 큰 붓으로 커다란 화폭 가득 글씨를 쓴 다음 작은 사각형 조각으로 잘라 내 퍼즐 짜맞추듯 임의로 조합해서 완성한 이 작품들은, 획과 우연이 만들어낸 것이다. 작가는 “삶의 본질 또한 비합리적인 우연에서 오는 것은 아닌가 한다”고 말한다. 6월 10일까지. (02)720-5114 / 오미환기자

한국일보/ 5.21


[전시가이드]‘동아일보 사진동우회 2007 회원전’ 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동아일보 사진동우회 부산지부(지부장 장종선)가 21∼26일 부산시청 전시실에서 ‘2007 회원전’을 연다. 최민식의 ‘빛’(1964년·사진), 송봉운의 ‘모정’(1975년) 등 1963∼2000년 동아사진살롱 입상작 중에서 30여 점을 선보인다. 051-888-4747

▽서양화가 겸 수필가 정숙진 씨가 30일부터 다음 달 5일까지 서울 종로구 인사동 공화랑에서 ‘백조 그리고 사랑’ 전시를 연다. 02-735-9938
-동아일보 5.21

[전시] 사람·새·물고기 뒤섞인 생명력 ‘황인철 조각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조각가 황인철(중앙대 공예학과 교수)씨의 작품 ‘영원한 생명-여로’를 보자. 새를 닮은 것 같기도 하고 어떤 식물같기도 하다. 브론즈를 소재로 하는 그의 조각은 물고기, 소, 나무 등 동식물과 인간의 얼굴이 결합한 듯한 형태를 띤다. 현실에서는 존재하지 않은 시뮬라크르(가상물)의 이미지를 선보인다.

사람과 물고기의 이미지가 섞인 작품의 경우 사람같은 물고기인지, 물고기같은 사람인지 구분이 어렵다. 이를 통해 작가는 사물에 대한 일반적인 관념을 깨뜨리려 한다. 상상 속에서나 가능한 이질적인 것들의 결합으로 새로운 생명체, 눈에 보이는 것 너머의 존재를 보여주려는 것이다.

그의 19번째 개인전이 23∼29일 서울 관훈동 인사아트센터에서 열린다. ‘영원한 생명의 시뮬라크르’라는 주제로 ‘여인상’ ‘자유’ ‘숲’ ‘한마음’ 등을 내놓는다. 역동적인 작품들은 요한 스트라우스의 ‘봄의 왈츠’를 듣는 것처럼 생동감이 넘친다. 단국대 조형예술대학원 박사학위 청구전(02-736-1020).
국민일보/ 5.21

임서령 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동양화가 임서령씨가 그리는 인물화는 바쁘게 살아가는 삶 속에서 내면의 서정을 간직하고픈 현대인들의 자화상이나 다름없다. 전통적인 장지기법과 분채를 사용하되 은은한 파스텔톤으로 꿈꾸듯 붓질한 화면에는 우아하면서도 정적인 이미지의 여인들이 자신만의 그윽한 향기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고개를 약간 숙인채 눈을 지그시 감은 '그지없이', 누군가를 하염없이 기다리고 있는 '혹여', 기다리다 지쳐 등을 돌렸지만 마음 한구석에 아쉬움이 깃든 '그래도' 등 작품 속 인물들은 특정인의 초상이 아니라 작가의 심상 이미지다. 작가는 이들에게 '여인이여…꽃이되어'라는 타이틀을 부여했다.

잔잔하고 신비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인물들은 생각이 많아지는 30대를 건너가는 여인들로 인생의 계절로 치면 5월을 지나고 있는 셈이다. 설렘과 아쉬움이 교차하는 여인들의 모습을 26일까지 서울 경운동 장은선갤러리에서 만날 수 있다(02-730-3533).
국민일보/ 5.21

'새로운 미술은 없다' 뷔스타만테 개인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2003년 베니스 비엔날레의 프랑스관 초대작가인 장-마르크 뷔스타만테(55)는 남의 작품을 자신의 작품으로 둔갑시키는 작가다.
잡지에서 오래된 사진을 찾아내고 확대한 뒤 플렉시글라스 위에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인쇄한 2003년의 '뤼미에르' 연작이 대표작이다. 또 옛 화가의 회화를 사진으로 찍은 후 그 위에 데생을 하고 확대를 해 자신의 작품으로 내놓는 수법도 쓴다.
직접 그림을 그리지 않아도, 직접 사진을 찍지 않아도 전하고 싶은 메시지를 정한 뒤 표현방식을 잘 찾으면 작가 반열에 오를 수 있는 현대미술의 좋은 본보기를 보여주는 작가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31일까지 청담동 박여숙 화랑에서 사진, 회화, 조각 20여 점이 전시된다. ☎02-549-7574.
-연합뉴스 5.20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