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9

중견작가 박훈성씨 개인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꽃속에 녹아든 차가운 현실

중견작가 박훈성씨(47)의 개인전이 서울 관훈동 노화랑에서 열리고 있다.
박씨는 캔버스를 비롯해 콘크리트,알루미늄 등 판재 위에 다양한 꽃과 식물들의 이미지를 극사실주의 기법으로 그리는 작가다.

30일까지 계속되는 이번 전시에는 진달래,나팔꽃,식물 줄기 등의 이미지에 거친 드로잉과 칼자국,구멍들을 수놓은 100호(160×132cm) 이상 대작 '사이(Between)' 시리즈 15점을 내걸었다. 사물 자체보다 사물과 사물들의 차이와 간극,틈새를 다룬다는 의미에서 작품 제목을 모두 '사이'로 붙였다.

구상화 추상의 틈새라는 의미도 담겨있다. 그의 작품은 판재에 묘사된 꽃을 통해 감정이 배제된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정서를 대변하는 것이 특징. 아름다운 꽃이 인간의 본질을 추구하는 상징적인 대상이라면 캔버스,콘크리트,아크릴 패널 등 판재는 차가운 현실을 응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씨는 "내 작업은 단순히 장식적 즐거움을 주는 이미지 재현이나 난해한 개념의 시각적 유희가 아니라 이미지와 사물과의 공존 관계를 탐구하는 과정"이라며 "사실적 이미지와 추상적 사물과의 '사이'에서 상상력을 발휘하는 것은 관람객의 몫"이라고 설명했다.가격은 점당 2000만원이다.
(02)732-3558. 김경갑 기자 kkk10@hankyung.com

한국경제/ 5.21

광주시립미술관 신축 9월 개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오는 9월 개관을 목표로 신축미술관은 중외공원 내에 총면적 8,660.60㎡의 지하1층 지상 3층으로 건립 중에 있다. 신축미술관은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비엔날레 건물과도 근접, 향후 행사 추진 시 주변 기관들과의 협력체제 구축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주요 시설로는 전시실과 수장고, 세미나실, 도서자료실, 어린이 미술전시장, 어린이 미술체험장, 문화학교 실기실, 아트샵, 카페테리아 등이 마련된다. 특히 넓어진 수장고는 소장품 수장공간의 부족과 작품보존의 어려움을 다소 해갈해 줄 것이며, 일반인에게 공개되는 도서자료실과 어린이 미술관의 운영은 시민과 어린이들을 위한 놀이와 교육의 장으로서 큰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교실도 3개의 방을 갖추게 되는데, 이중 도예공방은 관련시설 등을 갖추고 유치원에서 성인에 이르기까지 도예체험을 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게 된다.

그 밖에 옥상정원, 넓은 로비와 야외 잔디밭은 시만들이 작품 감상과 함께 쉼터로서도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등 기존의 미술관보다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신축미술관을 갖추게 되며 광주시립미술관이 풍부한 소장품과 함께 도약의 계기가 될 것이다.

- 광주시립미술관 <미술관 소식>, 2007년 5월호

[Metro] 빛공해 사진 공모전 출품작 접수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양주 필룩스 조명박물관이 서울대 의학박물관과 함께 ‘빛공해사진공모전’ 응모 작품을 28일까지 접수한다.
부적절한 조명이 생활에 주는 피해 사례를 디지털카메라로 찍어 보내면 된다. 최우수작 100만원 등 우수작품은 시상하고, 오는 7월7일∼8월31일 필룩스 조명박물관에 전시된다.(031)820-8002.


서울신문 2007.5.19

'한국최초사박물관' 건립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개항기 인천을 통해 들어온 근대 문물을 전시하는 ‘한국최초사박물관’이 인천에 들어선다.
인천 중구는 18일 19억원을 들여 중앙동 1가 옛 일본 제1은행 인천지점(시지정 유형문화재 7호)을 리모델링해 2008년 3월까지 한국최초사박물관을 건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물관은 지상 2층에 연면적 412㎡ 규모로 100여년 전 개항 당시 인천의 모습이 담긴 영상과 당시 해외에서 들여온 물건 등을 전시한다.


서울신문 2007.5.19

공예가협회 새 이사장 추원교 교수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공예가협회는 최근 열린 총회에서 제19대 이사장에 추원교 한양대 디자인학부 교수(문화재위원)를 선출했다고 18일 밝혔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