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9

[문화단신] 서양미술사학회 국제 심포지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17~19세기 영국, 독일, 스칸디나비아 등 북유럽의 귀족 사이에는 이탈리아로 떠나는 장기간의 여행이 유행했다. ‘그랜드 투어’로 불리는 이 여행은 고대 그리스ㆍ로마 문명의 유산을 찾아가는 예술기행으로, 서너 달에서 길면 3, 4년씩 걸렸다.
지식인과 예술가도 참여해 견문을 넓히고 미술품을 수집하고 책을 쓰는 등 그랜드 투어는 계몽주의 시기 유럽인의 취향과 세계관, 예술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괴테의 <이탈리아 기행>, 바이런의 장편 서사시 <차일드 해럴드의 편력>도 그랜드 투어의 산물이다.

서양미술사학회가 19일 홍익대에서 여는 제3회 국제 학술심포지엄은 국내에서는 아직 낯선 주제인 그랜드 투어를 다룬다. 미술사와 문화사 분야의 국내외 유명 학자를 초청해 최신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그랜드 투어의 문화사적 의미를 조명한다.
한국일보/ 5.18

5월 18일 화제의 전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장순복씨 ‘붓으로 쓴 농촌보고서’

장순복씨의 첫 개인전 ‘들녘에서 만나다’. 등이 굽은 옆집 할머니, 퍽퍽한 땅을 일구는 호호 할머니, 보따리 인 아주머니 등. 할미꽃, 민들레, 쑥부쟁이, 엉겅퀴 등 흔한 풀꽃들. 금방 비를 뿌릴 것 같은 들녘하늘, 겨울바람 부는 둑방의 말라비틀어진 풀. 경기도 여주로 퇴촌해 16년 동안 지켜본 농촌 현실 보고서다. 자유무역협정에 노출돼 속절없이 여위어가는 우리의 자화상이기도 하다. 눈갤러리(02-747-7277). 23일부터 29일까지.

한국 현대 조각, 세대차를 엿보다

조각 전문 갤러리 마나스아트센터(옛 갤러리 아지오, 031-774-5121)가 6월30일까지 ‘한국 현대 조각의 정신, 어제와 오늘’을 연다. 한국전쟁을 경유한 조각가 29명 작품 35점을 전시한다. 현대 조각을 연 1세대 원로인 전뢰진 최종태, 모더니즘 개화기에 구상과 비구상 양식을 개척한 2세대 정관모 김수현 심재현, 그들만의 주제와 소재로 개성을 표출한 3세대 강희덕 정현도 신현중 심부섭 등이 망라되어 있다. 한국 현대 조각사를 일별할 수 있으며 4세대의 행보를 점쳐볼 수 있다. 신관엔 김승환의 조각전 ‘영원성 탐구※유기체’가 마련됐다.

명품 도배한 현대인의 자화상

과시, 주술, 계급을 상징하는 문신은 현대에도 되풀이된다. 화장과 장신구와 의복의 형태로. 문신의 콘셉트를 추적하다 우리 의식 속의 문신에 눈길이 멎은 김준이 명품의 아이콘에서 확대해 가죽명품의 거죽을 인체의 피부로 대체한 컴퓨터 그래픽 작품을 들고 나왔다. 17장의 화려한 3차원 사진들을 ‘파티’라는 제목으로 엮었다. 명품을 문신처럼 둘러쓴 현대인의 허위의식을 조롱함. 27일까지. 터치아트(031-949-0435).

-한겨레 5.18

조각가 안진우, 뉴욕으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조각설치작가 안진우씨가 2007 뉴욕 ISCP 참여자로 선정되어 경기문화재단의 후원과 함게 6월부터 뉴욕에서 작품활동을 시작한다.

화가 12명 참가한 ‘신 산수풍경’ 전… 한국화의 새로운 방법을 찾아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화려한 꽃 그림이나 사진 같은 극사실주의 화풍이 넘쳐나는 요즘 다소 고루하게 느껴지는 산수화에 매달리는 작가들이 전시를 꾸몄다. 한국화가 박병춘(덕성여대 교수)씨가 '신(新) 산수풍경'이라는 타이틀로 기획한 것으로 한국화의 새로운 방법을 찾아나서는 작가 12명이 참가했다.

'동양화론에 담겨있는 본질은 훼손하지 않고 예의있게 응용한 한국화'를 표방하는 전시에는 먹과 호분으로 빈들을 우직하게 그려내는 김범석, 연둣빛 색채로 '조립된 산수'를 만드는 김봄, 자연은 흑백으로 처리하고 인공물은 민화풍 컬러로 채색하는 김윤희 등이 신작을 내놓았다.

또 도시 풍경을 파노라마처럼 펼쳐보이는 박능생, 화면 가득한 산수에 현대적인 오브제를 끼워넣는 박병춘, 한지에 붉은 먹으로 동양화와 판타지를 접목시킨 이용석, 조각 설치 사진을 용용한 산수를 창조하는 임택의 작품도 눈길을 끈다. 22일까지 서울 인사동 관훈갤러리(02-733-6469).
-국민일보 5.17

주갤러리 개관기념 ‘한국 현대미술 명품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울 인사동에서 고미술화랑과 국내 첫 화포박물관을 운영하던 주갤러리(관장 주승진)가 강남구 신사동에 고미술품과 현대미술품을 나란히 선보이는 공간을 마련했다.

옛 표갤러리가 있던 자리에 들어선 5개층의 주갤러리는 개관 기념으로 '한국 현대미술 명품전'을 연다.

도자기에 풍경을 넣어 벽화처럼 이어붙인 강익중, 요즘 그림값이 상한가를 기록중인 이왈종 고영훈 사석원, '생명의 노래' 김병종, '설악산 풍경'의 김종학, '점으로부터'의 이우환 등 인기작가들과 김환기 박수근 백남준 오윤 이대원 등 대가들의 작품 50여점을 전시한다.

이와함께 토기, 청자, 백자 등 도자기류와 고서화 및 목가구 등 골동품도 내놓았다. 주승진 관장은 "전통과 현대미가 어우러지는 미술품 전시로 강남 지역에 새로운 문화 향기를 불어넣는 공간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02-736-7775).
-국민일보 5.17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