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9

<문화소식> 더 뉴게이트 이스트 김효준ㆍ양은주 전 등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명륜동의 더 뉴게이트 이스트에서 도시인의 일상을 그리는 회화작가 김효준과 양은주의 2인전이 열리고 있다.김효준(31)은 냉소적이고 담담한 터치로 도시의 밤풍경을 즐겨 그리고, 양은주(28)는 닫힌 실내 공간의 인물들을 그린다. 5월4일까지. ☎02-747-6603.

▲미술그룹 '앙가쥬망'이 올해 정기전을 다음달 2-8일 인사동 모란갤러리에서 연다.'한강 기행-단절에서 통합의 공간으로'를 올해 주제로 한강의 발원지와 주변지역까지 다룬 회원들의 작품이 전시된다. ☎02-737-0057.

▲환경재단이 주최하는 2007그린아트페스티벌에서 '동물'을 주제로 한 국내외 유명사진작가 13명의 작품 90여점이 전시된다.호시노 미치오, 제임스 발로그 등 유명작가들이 알래스카에서 남극까지 기후변화로 몸살을 앓고 있는 지구촌 곳곳에 살고 있는 동물들의 세계를 찍었다. 5월3-6월2일은 코엑스 동쪽 광장, 6월4-30일은 세종문화회관 앞 인도에서 전시된다.☎02-2011-4365.

▲국회도서관은 5월2-23일 국회도서관 2층 전시공간에서 '아스토 국제미술제 2007' 행사를 연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아스토미술관이 주관하는 이번 행사에서는 캘리포니아 일대에서 활동하는 13개국 출신 작가 43명의 작품 84점이 '동시적 다양성'을 주제로 소개된다. ☎02-788-4128.

▲평창동 키미아트가 배우 윤석화를 15년간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며 사진을 찍어온 작가 장선희의 개인전 'Journey to 36'이 열리고 있다.
수백장의 사진 중 골라낸 작업들로 일종의 다큐멘터리가 만들어졌다. 5월16일까지. ☎02-364-6411. -연합뉴스 4.26

환기미술관에 모인 김환기 점화의 후예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김환기의 1970년대 점화를 연상시키는 중견ㆍ신진작가들을 모은 공모작가 기획전 '점으로부터, 점으로'가 부암동 환기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다.

이번 공모전은 환기재단이 점을 주제로 작업하는 모든 장르의 작가를 공모받아 김남용, 김주환, 김지연, 김진아, 안종연, 이상희, 이재효, 이정배, 황지선 등 작가 9명을 골라낸 전시다. 나무나 철근, 못 등을 조합해 새로운 덩어리를 만들어내는 이재효나 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를 연상시키는 미니멀한 주물을 만드는 김남용, 알루미늄 판에 형상을 파내 자연을 그려내는 안종연, 캔버스에 점을 쌓아 그리는 김진아, 먹점으로 추상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이상희 등 40-50대 작가와 김주환, 김지연, 이정배 등 30대 작가가 함께 소개되고 있다.

환기미술관은 "산월과 달, 항아리를 그리던 김환기가 뉴욕시대에 고국과 인생을 생각하면서 캔버스에 찍어나간 '점'은 모든 조형의 시작이자 끝인 동시에 그의 예술세계가 응축된 결정체"라고 설명했다.6월3일까지. ☎02-391-7701.
-연합뉴스 4.26

그래픽 세만틱스展 29일까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그래픽 디자인'이라는 공통분모를 갖고 영국 작가 스콧 킹과 한국의 박영훈(인덕대 디자인멀티미디어과 교수)의 작품을 함께 선보이는 '그래픽 세만틱스(GRAPHID SEMANTICS)'전이 서울 모강화문 일주아트스페이스에서 열린다. 새로운 미술 언어인 그래픽 디자인을 도구로 사용, 익숙한 소재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표현했다.
4월 29일까지. 관람료 무료, 오전 11시~오후 6시 30분(월요일 휴관). (02)2022-7777 wwww,iljuart.org

문화재위원회 자매 위원 탄생[신임위원 명단]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재청은 25일 문화재 보존ㆍ관리와 활용에 관한 사항을 조사ㆍ심의하는 문화재위원회의 임기가 끝남에 따라 120명의 문화재위원과 200명의 문화재전문위원을 새로 위촉했다.
기존 문화재위원의 62.5%는 유임됐으며 37.5%는 출석률과 활동실적,건강 등을 고려해 교체됐다.

자매인 김리나 홍익대 교수와 김영나 서울대 교수는 각각 동산문화재분과위원과 근대문화재분과위원으로 위촉됐다.아버지는 김재원 초대 중앙박물관장이다.

최고령인 임동권(81) 중앙대 명예교수는 문화재위원 가운데 유일하게 1962년 초대 문화재위원을 지냈다.

안휘준 위원장이 유임된 가운데 문화재위원회는 기존의 9개 분과에서 11개 분과로 확대됐다.

무형문화재분과가 무형문화재 예능분과와 무형문화재 공예분과로 분리됐고,문화재 형상변경을 심의할 경관심의분과가 신설됐다.제도분과는 폐지됐으며 기능을 대신할 문화재청 제도ㆍ법률자문위원회가 별도로 설치됐다.

분과별 위원장에는 ▲박언곤 건축문화재분과위원장 ▲안휘준 동산문화재분과위원장 ▲한영우 사적분과위원장 ▲김명자 무형문화재예능분과위원장 ▲박대순 무형문화재공예분과위원장 ▲이인규 천연기념물분과위원장 ▲정징원 매장문화재분과위원장 ▲이만열 근대문화재분과위원장 ▲김광언 민속문화재분과위원장 ▲정재훈 문화재경관분과위원장이 선출됐다.

국보지정분과는 김홍남 국립중앙박물관장,유영렬 국사편찬위원회장과 10개 분과 위원장으로 구성됐다.임기는 2009년 4월25일 끝난다.

다음은 25일 위촉된 문화재위원회 위원 명단

건축문화재분과△위원장 박언곤(홍익대) △김봉렬(한국예술종합학교) △김창준(전 문화재청) △이상해(성균관대) △김동욱(경기대) △김동현(전 국립문화재연구소) △윤홍로(전 문화재전문위원) △장경호(전 국립문화재연구소) △장석하(경일대) △조성룡(건축가) △소재구(국립고궁박물관) △천득염(전남대) △최성은(덕성여대)

동산문화재분과 △위원장 안휘준(서울대) △조선미(성균관대) △윤용이(명지대) △최건(조선관요박물관) △김리나(홍익대) △범하(통도사성보박물관) △정우택(동국대) △박상국(전 국립문화재연구소) △이영훈(국립경주박물관) △박성래(전 한국외대) △신승운(성균관대) △최승희(서울대) △이광호(연세대) △이오희(한국전통문화학교)

사적분과△위원장 한영우(한림대) △김원(건축환경연구소 광장) △김성구(국립중앙박물관) △손영식(전통건축연구소) △장헌덕(한국전통문화학교) △최기수(서울시립대) △주보돈(경북대) △고혜령(국사편찬위원회) △전형택(전남대) △안병욱(가톨릭대) △정영화(영남대) △지건길(전 국립중앙박물관) △배기동(한양대) △이형구(선문대) △최광식(고려대)

무형문화재예능분과 △위원장 김명자(안동대) △강등학(강릉대) △최태현(중앙대) △김철호(국립국악원) △임동권(중앙대) △황루시(관동대) △임돈희(동국대) △이필영(한남대) △조흥동(국민대) △채희완(부산대) △이종철(한국전통문화학교)

무형문화재공예분과△위원장 박대순(서울약령시한의약박물관) △추원교(한양대) △정해조(배재대) △윤근(중앙대) △백영자(한국방송통신대) △박성실(단국대) △윤열수(가회박물관) △흥선(직지사성보박물관) △이태호(명지대) △윤용이(명지대)

천연기념물분과 △위원장 이인규(서울대) △박규택(강원대) △이은복(한서대) △박상진(경북대) △김익수(전북대) △손인석(제주도동굴연구소) △김학범(한경대) △구태회(경희대) △이광춘(상지대) △김정률(한국교원대) △이창복(서울대) △이흥식(서울대) △조도순(가톨릭대) △김덕현(경상대) △양보경(성신여대) △오경섭(한국교원대) △홍순민(명지대)

매장문화재분과 △위원장 정징원(전 부산대) △이인숙(부산박물관) △김세기(대구한의대) △박영철(연세대) △최병현(숭실대) △이강승(충남대) △이건무(전 국립중앙박물관) △이청규(영남대) △안승모(원광대) △조영제(경상대) △나선화(생명과평화의길) △박강철(조선대)

근대문화재분과 △위원장 이만열(전 국사편찬위원회) △남문현(건국대) △이재(전 육군사관학교) △김영나(서울대) △윤범모(경원대) △박현수(영남대) △이용관(중앙대) △최원식(인하대) △김용수(경북대) △서중석(성균관대) △백운선(호남대) △김정동(목원대) △김정신(단국대) △김영태(영남대)

민속문화재분과 △위원장 김광언(인하대 △이종철(한국전통문화학교) △임재해(안동대) △조유전(토지박물관) △김홍식(명지대) △문영빈(전 문화재전문위원) △장석하(경일대) △김봉렬(한국예술종합학교) △박강철(조선대) △신승운(성균관대) △박성실(단국대) △이태호(명지대) △박대순(전 서울역사박물관)

문화재경관분과 △위원장 정재훈(전 문화재청) △김봉건(국립문화재연구소) △민현식(예술종합학교) △정기용(건축가) △채미옥(국토연구원) △이시재(가톨릭대) △조옥라(서강대) △이해준(공주대) △윤홍로(전 문화재전문위원) △김동욱(경기대) △장헌덕(한국전통문화학교) △정영화(영남대) △김학범(한경대) △김덕현(경상대)

국보지정분과 △김홍남 국립중앙박물관장 △유영렬 국사편찬위원장 △박언곤 건축문화재분과위원장 △안휘준 동산문화재분과위원장 △한영우 사적분과위원장 △김명자 무형문화재예능분과위원장 △박대순 무형문화재공예분과위원장 △이인규 천연기념물분과위원장 3정징원 매장문화재분과위원장 △이만열 근대문화재분과위원장 △김광언 민속문화재분과위원장 △정재훈 문화재경관분과위원장.

이상 11개 분과 120명(겸임 25명).


서울신문
2007.4.26

[문화단신] 부남미술관 서양화 원로작가展 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울 경운동의 부남미술관은 서양화 원로작가 초대전으로 개관 1주년을 기념한다. 장리석, 박돈, 이한우, 강정완, 황유엽 등 32인의 작품으로 5월 2일부터 31일까지 전시회를 한다. (02)720-0369

궁궐·왕릉 문화재 그리기 행사

문화재청은 5월 1~13일 서울과 경기 지역의 궁궐과 왕릉에서 초등학교와 유치원 어린이를 대상으로 궁궐과 왕릉 문화재 그리기 행사를 연다. 행사에 참여하는 어린이와 인솔자의 입장은 무료다. 참가신청은 문화재청 홈페이지(www.cha.go.kr)에서.

어린이날 국립박물관 무료

어린이날(5월5일)과 세계박물관의 날(5월18일), 전국의 국립박물관을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당일 서울의 국립중앙박물관과 지방 11개 박물관의 매표소에서 무료 입장권을 준다. 어린이날은 초등학생 이하 어린이, 세계박물관의날은 전국민이 무료다. 단 국립중앙박물관의 어린이박물관은 관람인원을 제한하고 사전예매제로 운영하기 때문에 여기서 빠진다. (02)2077-9069

-한국일보 4.26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