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9

고려대박물관 한국회화, 그리스서 특별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고려대박물관 소장 한국회화 26점이 그리스로 나들이를 한다. 한국국제교류재단 지원을 받은 이번 해외전시는 그리스 코르푸아시아미술박물관(Corfu Museum of Asian Art)에서 '풍경을 통해 본 한국'이라는 주제를 내걸고 4월1일부터 8월31일까지 계속된다.

이 자리에는 16-18세기 한국회화 작품들이 출연한다. 겸재 정선(1676-1759)의 '청풍계도', 강세황(1713-1791)의 '산수도', 허필(1709-1768)의 '금강산도', 최북(1712-?)의 '산수도', 김홍도(1745-?)의 '죽리탄금도' 등이 포함됐다. 고려대박물관은 1996-1998년에는 미국 6개 대학에서 '조선시대 선비의 묵향'을 주제로 해외순회전을 개최해 호평받았고 2003년에는 일본 오사카역사박물관에서 공동특별전 '한국의 마음과 삶'을 열기도 했다. 코르푸아시아미술박물관은 프랑스 기메박물관과 함께 유럽에서 2곳 뿐인 아시아미술 전문박물관이다. 박물관이 있는 코르푸섬은 휴양지로 유명하다. -연합뉴스 3.28

설치미술작가 정서영씨 7년만에 국내 개인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설치미술작가 정서영 씨가 7년 만에 국내 개인전을 마련했다. 2000년 아트선재센터 개인전 이후 2003년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전시, 2005년 프랑크푸르트 포티쿠스 미술관 개인전 등 국외에서 많이 활동해온 작가다.

'책상 윗면에는 머리가 작은 일반못을 사용하도록 주의하십시오. 나사못을 사용하지 마십시오'라는 알쏭달쏭한 전시 제목을 달고 고정관념에 도전하는 설치작품 9점이 전시된다. 30일부터 5월24일까지 신사동 아틀리에 에르메스. ☎02-3015-3208.
-연합뉴스 3.28

‘내면 풍경’ 정종기 개인전 등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내면 풍경’ 정종기 개인전

‘인체의 이미지와 내면 풍경’을 주제로 한 정종기씨의 개인전이 28일부터 4월3일까지 서울 인사아트센터 2층에서 열린다. 배낭을 멘 뒷모습, 바닥에 무언가 긁적거리는 모습부터 머릿속이 들여다보이게 클로즈업한 뒤통수까지 극사실적 화풍으로 익명의 청소년들을 표현한다. 02-736-1020

한국화가 박민희 개인전

꽃, 새 등 자연을 소재로 작업해온 박민희씨의 개인전이 28일부터 4월3일까지 서울 공갤러리에서 열린다. 주제는 ‘꽃보다 아름다운 유희’. 연분홍 봄꽃, 파랑새 등 화려한 색감이 돋보이는 신작들을 통해 자연과 함께 하는 생활을 표현한다. 02-735-9938

-문화일보. 3. 28

대학생 문화재안내판 디자인 공모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재청(청장 유홍준)은 5월14-18일 '대학(원)생 문화재안내판 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한다. 공모전은 문화재안내판 개선사업에 대한 공감대 형성과 젊은이들의 참신한 아이디어 수집을 위해 기획됐다. 2년제 이상 대학에 재학하거나 휴학 중인 개인이나 2인으로 구성된 팀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참가 희망자는 사적 제260호 병산서원(경북 안동) 등 공고된 5개 분야의 문화유산 가운데 1개 유산을 선택해 지정양식에 맞게 디자인을 작성ㆍ제출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문화재청 홈페이지(www.cha.go,kr) 참조.

당선작은 전문가 심사를 거쳐 6월4일 문화재청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한다. 최우수상에 300만원, 우수상(2명)에 각 150만원, 가작(3명)에 각 50만원, 입선(10명)에 각 20만원씩 상금을 준다.
-연합뉴스 3.28

"무구정경 8세기 신라작품 확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홍남)은 28일 불국사 석가탑 출토 무구정광대다라니경(무구정경)은 8세기 초 신라에서 제작된 인쇄물임이 틀림없다고 발표했다.
박물관은 이날 '석가탑 유물 관련 종합 경과보고'와 관련한 기자회견을 갖고 "무구정경의 시대를 기존 통설과는 달리 설정할 특별한 증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이는 무구정경이 고려 초기인 1024년 석가탑을 중수할 때 새로 만들어 넣었을 수도 있다는 일각의 문제제기를 원천부정하는 한편, 무구정경은 8세기 무렵 석가탑이 창건될 때 신라인에 의해 제작돼 봉안된 불경임을 확실히 한 것이다.

박물관은 그 근거로 기존 학계의 통설 외에도 석가탑 출토 종이류에 대한 현미경 확대 조사 결과 서석탑(석가탑)중수형지기, 보협인다라니경, 그리고 무구정경 순으로 섬유가 치밀하게 나타났으며, 내부 연구자의 중수기 판독결과에서도 통일신라시대 제작설을 뒤집을 만한 증거를 찾을 수 없다는 사실 등을 거론했다.
-연합뉴스 3.28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