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사진작가그룹 ‘매그넘’의 1세대를 구성했던 프랑스 사진작가 마르크 리부가 30일(현지시간) 93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레지스탕스로 활약한 그는 1952년 파리에서 매그넘의 창립자인 앙리-카르티에 브레송과 로버트 카파를 만나 이듬해 매그넘에 합류했다. 리부는 ‘파리 마치’ ‘룩’ ‘라이프’ 등 당대 최고 잡지에 사진이 실리며 사진계에 이름을 알렸다.
리부는 안전장치 하나 없이 곡예하듯 에펠탑에 페인트칠을 하는 페인트공의 모습을 담은 ‘에펠탑의 페인트공’(1953년작)을 ‘라이프’에 실으면서 세계적 사진작가로서 명성을 얻었다.
‘꽃을 든 여인’은 1967년 베트남 반전평화 시위가 벌어지던 미국 워싱턴에서 총검을 든 군인에게 꽃을 내민 여인을 찍은 사진으로, 당시 미국과 세계를 뒤흔든 반전 메시지를 담았다. 이 사진은 반전시위의 포스터나 피켓으로 사용되고 있다. 영화 <맨 인 블랙 3>에서도 악당에게 꽃을 주는 장면이 패러디로 등장하기도 했다.
역사적 현장을 사진에 담아온 그는 유럽 사진작가로는 처음으로 1957년 ‘죽의 장막’으로 불리던 중국에 들어가 마오쩌둥(毛澤東) 통치하의 중국 사회상을 담아냈다.
또 2차 세계대전 패전 후 산업화로 급변하는 일본의 경제부흥기 모습도 그의 사진 안에 담겼다. 리부는 ‘당신 사진 중 최고의 걸작이 뭐냐’고 물으면 “바로 내일 찍을 예정”이라고 답하곤 했다.
- 경향신문 2016.09.02
조계종 총무원이 주최하는 대한민국불교미술대전이 오는 7~20일 서울 인사동 아라아트센터에서 열린다. '과거 천년 현재, 미래 천년 현재'를 주제로 한 이번 불교미술대전에는 청원·도일·도현·본공·성각·명천 스님 등과 불교 미술인 등 모두 30명의 작가가 참여해 회화·조각·공예 작품 44점을 전시한다. (02)2011-1770
- 조선일보 2016.09.02
◇한국예술종합학교 △ 교학처장 민경찬 △ 미술원장 박인석 △ 미술원 부원장 정주영 △ 연극원 연출과장 박상현 △ 공연전시센터 예술감독 박상현 △ 예술교양학부 주임교수 진휘연 △ 음악극창작협동과정 주임교수 최종윤
- 서울경제, 서울신문, 동아일보, 매일경제,문화일보 2016.09.02
◇한국연구재단 △문화융복합단장 이산호
- 동아일보 2016.09.02
◇서울과학기술대 △문화예술비즈니스학과장 신재협
- 동아일보, 한국일보 2016.09.02
■건국대 ▲상허기념도서관 부관장 전태권
- 매일경제 2016.09.02
▲조문재(전 KBS부사장)씨 별세ㆍ범진(고양지청 검사) 정현(KBS 라디오PD) 소현(디자이너)씨 부친상ㆍ조종훈(국악인)씨 장인상=30일 오후8시55분 이대목동병원 발인 2일 오전5시30분 (02)2650-2742
- 한국일보 2016.09.01
‘2016 광주비엔날레’ 기간(9월2일∼11월6일) 중 휴관일 없이 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 개관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로 입장은 오후 5시30분까지 할 수 있다. 티켓은 오전 8시30분부터 오후 5시30분까지 판매한다.
입장권은 어른 1만4000원, 청소년 6000원, 어린이 4000원이다. 단체(20인 이상)와 특별할인권도 준비돼 있다. 행사 전 기간 통용권은 어른 3만원, 청소년 2만원, 어린이 1만원이다.
온라인에서는 재단 홈페이지와 NHN티켓링크(www.ticketlink.co.kr), 네이버 예매에서 구입할 수 있다. 오프라인에서는 전시관을 비롯해 기아챔피언스필드 매표소와 광주역과 광주송정역, 목포역, 나주역에서도 구입할 수 있다.
도슨트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30분까지 30분 간격으로 모두 11차례 진행하며 소요시간은 1시간 10분∼1시간 30분 정도다. 최대 인원은 20명이며 무료로 참여 가능하다. 별도 예약없이 광주비엔날레 전시장 입구, 도슨트 데스크에서 현장 접수하면 된다. .
재단은 송정역, 광천동 버스터미널, 광주비엔날레전시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및 야외 사이트를 오가는 셔틀버스를 운영해 전시 관람 편의를 제공한다.
광주비엔날레 입장권과 코레일 패키지 상품도 출시됐다. 최대 30% 할인된 가격인 7만4600원으로 왕복 열차 티켓과 예매 입장권을 구입할 수 있다.
-광주일보 2016.09.01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