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09

[2016.08.24] 국립광주박물관 교육관 대강당 시설 대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국립광주박물관이 전시관 1층 홀(392㎡)과 교육관 대강당(440㎡) 등 시설 대관에 대한 접수를 받는다. 박물관은 문화예술 활성화와 시민들에게 문화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시설 대관을 하고 있다. 


전시관 1층 홀은 졸업작품전, 어린이 미술전 등 전시회 위주로, 대강당은 세미나, 교육연수, 웅변·발표회 등을 위주로 운영한다. 앞으로 정원까지 대관에 포함시킬 계획이으로 개인행사는 제외된다.


신청은 박물관 홈페이지(gwangju.museum.go.kr) 대관신청에서 하면 된다. 문의 062-570-7024.


-광주일보 2016.08.24

[2016.08.23] 국가무형문화재 '양주별산대놀이' 노재영 보유자 별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향년 84세

1964년 국가무형문화재 제2호 지정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이사장 등 역임국가무형문화재 제2호 ‘양주별산대놀이’의 노재영 보유자가 노환으로 23일 오전 타계했다. 향년 84세. 


1932년 생인 고인은 1955년 ‘양주별산대놀이’에 입문해 1964년 ‘양주별산대놀이’ 보유자로 인정받았다. 이후 양주별산대놀이 보존회장과 사단법인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양주별산대놀이는 서울ㆍ경기지방에서 즐겼던 산대도감극의 한 갈래로 춤과 무언극, 덕담과 익살이 어우러진 민중 놀이이다. 전체 8과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파계승, 몰락한 양반, 무당, 사당, 하인 및 늙고 젊은 서민들이 등장하여 현실을 풍자하고 민중의 생활상을 보여준다. 


고인은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 김성태, 김성대, 박준섭 선생에게 기ㆍ예능을 사사했으며 한평생 양주별산대놀이의 전승을 위해 노력했다. 빈소는 경기도 양주시 평화로 양주장례식장 특실. 발인은 25일 오전 10시30분. 장지는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 선산이다. 유족으로 부인과 2남(상주 노종호) 있다. 031-863-4444.



-이데일리 2016.08.23

[2016.08.23] 대구미술관 한국미술 해외전시 심포지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대구미술관은 오는 26일 '환상 또는 현실: 한국미술 해외전시를 바라보는 시선들'이란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을 연다.

해외에서 전시한 우리나라 작가들의 전시에 대해 담론을 나누는 자리다.


발제자로 도미타 야스코 일본 가나가와 현 요코스카미술관 큐레이터, 크리스 어컴스 미국 스펜서 미술관 큐레이터, 김영순 부산시립미술관장이 참여한다.이인범 상명대 교수 사회로 목수현 명지대 객원교수, 김복기 아트인컬처 대표가 토론한다.


자세한 내용은 대구미술관 홈페이지(http://www.daeguartmuseum.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2016.08.23

[2016.08.23] 인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국회도서관 [이사관] ▦국회기록보존소장 박옥주 [부이사관] ▦국회기록보존소장 이향은 


- 한국일보 2016.08.23

[2016.08.23] 전북도립미술관, 예술강좌 개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전북도립미술관(관장 장석원)이 2016년도 하반기 예술강좌를 개설한다.

‘우리에게 예술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개설되는 강좌는 미술을 중심으로 예술의 본질과 삶에 대해 짚어본다.

강좌는 9월 13일 개강해 11월 29일까지 매주 화요일 오후 2시 미술관 강의실에서 열린다.


장석원 도립미술관장과 강관욱 조각가, 김지연 사진가, 박남준 시인, 이상조 서양화가, 이철량 한국화가가 강사로 참여한다.


장석원 관장은 ‘예술과 삶’을 주제로 강좌를 열며, 김지연 작가는 ‘좋은 사진’을 주제로, 강관욱 조각가는 ‘미술과 열정’에 대해 강의한다. 또 박남준 시인은 ‘함께 나누는 시’를 주제로, 이상조 작가는 ‘현대미술과 미술가’에 대해, 이철량 화가는 ‘수묵’에 대해 들려준다. 마지막 강좌는 6명의 강사와 함께하는 종합토론으로 꾸린다.


선착순 30명 모집하며, 무료다. 신청문의 도립미술관 학예연구실(063-290-6877).


-전북일보 2016.08.23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