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8

[2016.05.09] 현실과 망상 은유하는 현대미술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현실과 망상 은유하는 현대미술


현실과 망상을 은유하는 반투명 미로

현실과 망상을 은유하는 반투명 미로



푹신한 방석에 몸을 던진 채 현대미술 영상을 본다. 서울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지하에서 젊은 작가 10명이 꾸린 프로젝트전 ‘망상지구’는 휴식 같은 전시다. 현실과 망상을 은유하는 반투명 미로, 액체가 기화하는 환각 이미지와 음향들이 눈을 어루만져준다. 7월17일까지. (02)3701-9500.


- 한겨레신문 2016.05.09

[2016.05.09] 추상 거장 김환기의 명화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추상 거장 김환기의 명화들



푸르고 푸르다. 점들이, 산과 하늘이, 그들을 촘촘하게 다져넣은 화폭의 빛깔이. 서울 부암동 환기미술관에 추상 거장 김환기(1913~74)의 명화들이 다시 갈무리돼 나왔다. 피난 시절부터 말년 미국 작업 때까지 수작 400여점을 내건 ‘사람은 가고 예술은 남는다’ 특별전이다. 8월14일까지. (02)391-7701.


- 한겨레신문 2016.05.09

[2016.05.09] [문화필통] 유현미 개인전 '내 마음 속 서재' 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교보문고 광화문점 내 교보아트스페이스가 전시장을 통째 서재로 변신시킨 유현미 작가의 개인전 ‘내 마음 속 서재’를 열고 있다. 작가는 책장과 소파, 조명, 화분 등으로 서재를 꾸민 다음 공간 전체를 그림처럼 채색해 실제 풍경이 마치 ‘그림 속 한 장면’처럼 보이는 착시를 일으킨다. 작가는 “일상의 서재 모습이 최대한 꿈에 그리던 상상 속 나만의 서재로 느껴지도록 했다”고 소개했다. 6월 26일까지. (02)2076-0549

[2016.05.07] 부고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만화가 오세영(사진) 화백이 5일 별세했다. 61세. 1955년 충남 공주에서 태어난 고인은 86년 만화잡지 ‘만화광장’에 단편을 실으며 데뷔했다. 토속적이고 사실적인 그림체를 바탕으로 한 사회성 있는 작품을 주로 창작했으며 『부자의 그림일기』 『남생이』 『월북작가 순례기』 등을 남겼다. 2007년에는 고 박경리 선생의 대하소설을 극화한 『만화 토지』(1~7권)를 그려내 원작자인 박 선생의 극찬을 받기도 했다. 이런 공을 인정받아 대한민국출판 만화대상(99년), 고바우 만화상(2009년) 등을 받았다. 빈소는 경기도 용인 ‘평온의 숲’. 발인은 7일 오전 7시다. 031-329-5900.


- 한겨레신문,중앙일보,서울신문,경향신문 2016.05.07

- 부산일보 2016.05.08




[2016.05.05] 부고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1960~1980년대 한국 도시공간의 변천사를 담은 사진과 1980년대 이산가족 상봉을 다룬 사진으로 알려진 원로 사진작가 홍순태씨가 3일 오전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4세. 빈소는 서울 강동경희대병원에 마련됐고, 발인은 5일 오전 5시. (02)440-8921


- 경향신문 2016.05.05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