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전쟁에서 수차례 죽음의 고비를 넘기면서도 참상을 카메라에 담았던 영국 사진작가 팀 페이지(78)가 작고했다. 미 워싱턴포스트(WP)는 “페이지가 지난 24일 호주 뉴사우스웨일스(NSW) 자택에서 숨을 거뒀다”고 보도했다. 사인은 간 질환과 췌장암이었다.
페이지는 20살이었던 1965년부터 약 4년간 베트남에서 오토바이와 헬기를 타고 참혹한 현장을 찾아다녔다. 4차례나 생사를 오갔지만 기록을 멈추지 않았다. 1969년에는 부상한 미군을 구하기 위해 같이 따라나선 병사가 지뢰를 밟으면서 5㎝짜리 파편이 페이지 오른쪽 눈 위를 뚫고 뇌까지 들어간 일도 있었다. 그는 이 상황에서도 카메라 렌즈를 바꿔 사진 몇 장을 찍고 나서야 헬기 안에서 쓰러졌다. 이후 야전병원에 도착해 플라스틱을 두개골에 삽입하는 수술을 받고 기적적으로 살아났다. 그의 사진들은 미국 사진 잡지 ‘라이프’와 미 주간지 ‘타임’, 프랑스 ‘파리마치’ 등 매체에 실렸다. 페이지는 2013년 한 인터뷰에서 “내 사진이 베트남전을 멈춘 건 아니지만 여론을 흔드는 역할을 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페이지는 사고 이후 미국에서 회복에 전념하다가 1980년대 초 10년 만에 다시 베트남을 찾았다. 이후 동남아에서 목숨을 잃은 언론인을 추모하고자 작품 활동에 매진했다. 1991년에는 21년 전 캄보디아에서 붙잡혀 현지 무장단체 ‘크메르루주’에 살해된 것으로 알려진 동료 사진작가 숀 플린과 다나 스톤의 실종 과정을 추적하는 내용의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들었고, 1997년에는 베트남전 사진으로 퓰리처상을 받은 AP통신의 호르스트 파스와 손잡고 인도차이나 지역에서 사망한 사진작가 135명의 작품을 담은 도서 ‘레퀴엠’을 펴내기도 했다.
- 조선일보 2022.08.26
낮에는 택배, 밤에는 그림을 그려 전시회를 연 원성진 작가. CJ대한통운 제공
◇ 원성진(CJ대한통운 택배기사) 작가는 오는 9월3일까지 서울 을지로4가역가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사이 지하보도의 아뜨리애 갤러리에서 <소리 내지 않는다고, 멈춘 것은 아니다> 주제로 네 번째 개인 전시회를 한다. ‘깊은 한강의 침묵’ 등 지난 1년간 택배를 배송하며 관찰한 한강을 주제로 그린 작품 10여 점을 선보인다. 그는 2017년부터 택배일을 시작해 저녁에는 화가로 활동하고 있다. 2018년 4월 <바람이 조금 불면> 주제로 코소(COSO) 갤러리에서 연 첫 개인전을 열었다. 서울시설관리공단 후원으로 무료 전시한다.
■문화체육관광부 ◇실장급 임용 △국민소통실장 황성운 ◇국장급 임용 △예술정책관 이은복 ◇과장급 임용 △예술정책과장 이정은 △국제관광과장 강지은 △방송영상광고과장 최재원
- 매일경제, 이데일리 2022.08.22
장욱진이 부인 이순경을 그린 1970년작 ‘진진묘’
국내 1세대 서양화가 장욱진(1917~1990) 화백의 부인 이순경 여사가 별세했다. 향년 102세.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등에 따르면 불교 법명이 ‘진진묘’(眞眞妙)인 이순경 여사가 18일 오전 입적했다.
1920년 서울에서 역사학자 이병도의 맏딸로 태어난 고인은 1941년 일본 유학 중이던 장욱진과 결혼했다. 고인은 1990년 남편의 별세 이후 마지막 화실이 있던 경기 용인 마북동에 장욱진미술문화재단을 설립하고 남편의 화업을 알리는 데 힘썼다. 빈소는 분당서울대병원 장례식장 9호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20일 오전 9시, 장지는 서울 무상사다.
- 헤럴드경제 2022.08.19
한상하
국내 영인본(影印本) 출판업계를 이끌며 한국학 발전에 기여한 한상하(사진) 경인문화사 회장이 지난 12일 90세로 별세했다. 황해도 재령 출신인 고인은 1964년 ‘우리의 책’을 만들어야 한다는 마음으로 경인문화사를 세웠다.
고인은 특히 옛 책자나 문헌을 사진 등으로 떠서 새로 펴내는 영인본 출판 한 길을 걸으며 한국학 연구의 저변을 넓히기 위한 다양한 자료를 책으로 냈다.
고인은 대학 도서관은 물론 전국 향교, 문중 등을 다니며 자료를 모으고 이를 총서 형태로 출간하기도 했다.
정약용의 저술을 총정리한 문집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등 한국학 기본자료와 신라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주요 인물 3500여 명의 문집을 집대성한 ‘한국역대문집총서(韓國歷代文集叢書)’가 대표적이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아들인 한정희 대표가 회사를 이어받아 ‘경인한국학연구총서’ ‘경인한일관계연구총서’ ‘고려사학회연구총서’ 등의 학술 전문 서적을 펴내고 있다.
빈소는 서울 은평성모병원 장례식장 6호실에 마련됐다. 발인은 15일 오전이며 장지는 경기도 파주시 동화경모공원이다.
정혜정 기자 jeong.hyejeong@joongang.co.kr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