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조선의 인쇄술 발전상 한눈에
국보 ‘십칠사찬고금통요‘(十七史纂古今通要)를 비롯해 고문헌 25종 62책을 볼 수 있는 ‘고전에서 만난 우리 금속활자’전이 오는 9월 30일까지 국립중앙도서관(관장 임원선)에서 열린다.
조선 태종 12년(1412)에 발행된 ‘십칠사찬고금통요’(十七史纂古今通要)는 원나라 호정방이 편찬한 역사서로 ‘계미자’라는 금속활자로 찍혔다. 태종 3년(1403)에 만들어진 계미자는 조선시대 최초의 동(銅)활자로 하루 인쇄량이 몇 장에 지나지 않았다. 이번 전시에는 고려 고종 26년(1239)에 발간된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부터 1900년에 나온 ‘산술신서’(算術新書)까지 약 7세기를 아우르는 금속활자본이 공개된다. 국립중앙도서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인쇄기술과 문화 수준을 조명해 보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500년전 궁궐여인들은 어찌 살았을까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최종덕)이 개관 10주년 특별전 ‘오백년 역사를 지켜온 조선의 왕비와 후궁’을 열고 있다.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조선시대 왕비와 후궁의 삶과 생활상을 조명한다. 특히 헌종의 모친 신정왕후의 탄신 60주년 잔치를 그린 ‘무진진찬도병’(戊辰進饌圖屛)과 중종의 계비 문정왕후가 발원한 ‘오백나한도’(五百羅漢圖) 등 미국 LA카운티미술관(LACMA) 소장 작품이 공개된다. 아울러 왕을 낳은 후궁 7명을 모신 사당인 칠궁(七宮) 가운데 영조의 생모인 숙빈 최씨의 신위가 있는 육상궁(毓祥宮) 감실이 재현된다. 전시에서는 옷감의 색상으로 왕실 여성의 서열을 보여주는 황원삼, 홍원삼, 녹원삼과 왕비와 세손빈이 사용한 인장(印章), 혼례 잔치에 쓰인 돗자리인 교배석과 동자상 등 유물 300여점이 선보인다. 오는 8월30일까지. 문의 02-3701-7633.
-헤럴드경제 2015.07.13
▲이문향(전 덕성여대 약학대 총동창회장)씨 별세ㆍ심동섭씨 부인상ㆍ재훈(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 OLED 수석연구원) 정리(홍익대 미대 회화과 교수) 정민(한국춤평론가회 회장) 정은(조각가)씨 모친상ㆍ영선씨 조모상
=12일 오전10시55분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14일 오전9시10분 (02)2227-7500
- 한국일보,조선일보, 중앙일보 2015.07.13
■범어사 성보박물관과 부산박물관은 21일∼9월 13일 부산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올해 특별기획전으로 ‘천년고찰 범어사’를 공동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범어사 성보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삼국유사 4, 5권’ ‘불조삼경’ ‘주범망경’ ‘금장요집경 1, 2권’ ‘부산 국청사 동복’ 등 보물 5점이 공개된다. 또 사천왕상으로는 전국에서 제일 규모가 큰 ‘범어사 사천왕도’ 4폭도 만날 수 있다. 051-610-7111
- 동아일보 2015.07.13
◆ 풍속화로 보는 선조들의 생활상
조선 시대의 삶, 풍속화로 만나다 / 윤진영 지음 / 다섯수레 펴냄
풍속화는 옛날로 돌아가야만 만날 수 있는 사람과 풍물이 있는 그림이다. 과거 생활 습성이나 삶의 현장을 우리 눈앞에 생생하게 펼쳐 보인다. 이 책은 그림을 통해 조선 사회를 산 선조들의 예술, 문화를 만나는 기획 시리즈다. 네 번째 책인 풍속화에서는 신분제도가 엄격했던 조선사회를 살아간 선조들의 다양한 삶을 만나게 된다. 한국학 중앙연구원 장서각 책임연구원인 저자는 접하기 쉽지 않았던 관인, 사인, 서민 풍속화를 총망라한 다양한 그림을 진솔한 설명을 더해 조선사회의 다양한 삶을 보여준다.
- 매일경제 2015.07.11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